재택치료 10만명 포화 '임박'…답은 모니터링 완화?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오미크론 유행 여파에 연일 최다를 기록하는 건 신규 확진자만이 아닙니다.<br /><br />재택치료자도 연일 가파르게 늘며 10만명에 육박했는데요.<br /><br />사실상 포화상태에 놓이자 정부는 모니터링을 완화하겠다고 합니다.<br /><br />과연 제대로 치료가 될까요?<br /><br />김민혜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오미크론의 대유행에 지난달 중순 이후 2만명을 넘기 시작한 재택치료자는 2주 만에 10만명에 육박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달 말 402곳이던 관리의료기관이 461곳으로 늘었다지만 정부 추산으로도 10만 9,000명 정도 관리 가능한 수준입니다.<br /><br />사실상 포화상태 직전에 온 겁니다.<br /><br />현장에서는 확진 판정을 받아도 제때 관리받지 못해 아우성입니다.<br /><br /> "(병원에서) 양성이 나왔으니 다음날 보건소에서 오전 중에 조치 안내가 가면 조치에 따라 행하라, 그런데 (다음날) 오후 6시쯤에 신원조회하고 그 정도만 하고 끝났어요. (재택치료 키트는?) 아무것도 없어요. 그냥 집에 있는 거예요."<br /><br />그러자 방역당국은 의료기관들의 업무 부담을 줄여 여력을 확보하는 방안을 내놨습니다.<br /><br />현재 의사 1~2명과 간호사 3~5명이 재택환자를 150명까지 관리하는데, 위험군별로 진행하던 모니터링 횟수를 줄여 이 한도를 늘리겠다는 겁니다.<br /><br />의료전문가들은 하지만 정부의 방안보다 오미크론 특성에 맞춰 고위험군에 역량을 집중하고 저위험군은 연락체계 정도만 갖춰놓는 방식을 권고합니다.<br /><br /> "형식적으로 고위험군이 아닌 사람한테 2~3분씩 전화하느라고 시간 뺏기지 말고 차라리 고위험군에게 10분 15분 전화를 해야죠. 지금처럼 어정쩡하게…"<br /><br />방역당국은 저위험군 환자는 모니터링 대신, 건강상태를 스스로 관찰해 필요시 보고하는 방식을 대안의 하나로 논의 중이라면서도 당장은 지금 방식을 유지할 방침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민혜입니다. (makereal@yna.co.kr)<br /><br />#재택치료 #오미크론 #포화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