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뉴스에이, 조수빈 앵커 대신 오늘 진행을 맡은 한정연입니다. <br><br>코로나 신규 확진자, 3만 명 넘은지 단 이틀 만에 4만 명대를 넘보고 있습니다. <br><br>누적 확진자도 처음 100만 명을 넘었습니다.<br> <br>오미크론이 가세하자마자 단 두 달 만에 2년치 확진자가 나온 겁니다. <br> <br>정부는 이렇게 빠르게 퍼지는 오미크론에 맞서서 재택치료로 대응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정부가 밝힌 관리 가능 인원, 아직 여유가 있습니다.<br><br>하지만 실제 현장에선 그렇지 않은 징후가 쏟아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먼저 서상희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차량들이 왕복 2차선 도로의 한 차로를 완전히 막고 줄지어 늘어서 있습니다.<br><br>의료진들이 차량 사이를 뛰어다니며 문진표를 나눠주고, 검체를 채취합니다. <br> <br>[선별검사소 의료진] <br>"신속항원 하실 분은 신속항원 체크하고, PCR 하실분은 PCR 체크 해요." <br><br>코로나 신규 확진자는 매주 2배 이상 늘어 이틀 연속 3만 명대를 기록했습니다.<br> <br>누적 확진자도 100만 명을 넘겼습니다. <br> <br>국민 50명 가운데 1명은 코로나에 걸렸다는 얘깁니다. <br> <br>치료 시설 부족으로 집에서 치료와 관리를 받는 재택치료자도 13만 명에 육박합니다. <br><br>정부가 발표한 관리 가능 최대치(16만 3천 명)의 80%에 가깝다보니 방치되는 환자도 속출하고 있습니다.<br><br>지난달 27일 아내와 두 자녀가 잇따라 확진 판정을 받은 A씨. <br> <br>A씨의 아내는 재택치료 대상이었고, 코로나 증상도 있었지만, 보건소나 의료기관으로부터의 연락은 없었습니다.<br> <br>[A씨 / 재택치료자 가족]<br>"인후통, 기침, 가래가 초반에 심했거든요. 기존에 감기약 남은 게 있어서 찔끔 먹고 있는 상황이고 모니터링 자체가 안 된 상황이고," <br><br>체온계나 산소포화도 측정기는 확진 9일 후에야 도착했고, 그나마 성인용은 없었습니다. <br> <br>뒤늦게 보건소에서 온 연락은 하루 뒤면 격리가 해제된다는 내용이었습니다.<br> <br>[A씨 / 재택치료자 가족]<br>"재택치료를 하고 있다고 정부에서 이야기 하지만, 치료를 받고 있다기보다는 자연치유를 기다리고 있다고 보는게…"<br><br>취재진과 연락이 닿은 또 다른 재택치료자도 "사흘 째 보건소로부터 전화 한 통 못 받았다며 몸 상태가 점점 나빠지는 것 같아 두렵다"고 호소했습니다.<br> <br>방역당국이 재택치료자 모니터링 횟수를 하루 2~3회에서 1~2회로 줄여 관리 사각지대가 더 늘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 <br> <br>한동안 줄어들던 위중증 환자 수도 다시 증가세로 돌아서면서 방역 당국을 긴장시키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서상희입니다.<br><br>영상취재 : 이기상 박영래 <br>영상편집 : 유하영<br /><br /><br />서상희 기자 with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