재택치료 집중관리군만 모니터링…일반군은 스스로 관리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오미크론 유행 확산에 앞으로 재택치료자 관리 체계가 달라집니다.<br /><br />60세 이상 등 이른바 '집중관리군'만 건강 모니터링이 진행되고, 일반 환자는 스스로 관리하면서 필요시 비대면 진료나 상담을 받도록 하는 방안이 추진됩니다.<br /><br />김민혜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현재 재택치료자에 대한 모니터링은 고위험군과 일반환자로 나눠 진행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재택치료 환자가 늘어나면서 이달 초부터 횟수를 한 차례씩 줄여, 고위험군은 하루 2번, 일반환자는 하루 1번 전화 모니터링을 실시 중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이런 식으로 관리를 해도, 급증하는 환자에 관리의료기관 여력이 금세 한계에 임박하는 상황.<br /><br />결국 정부가 모니터링 체계를 바꾸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재택치료 환자를 집중관리군과 일반관리군으로 나눠 집중관리군에게만 건강 모니터링을 실시합니다.<br /><br />집중관리군은 60세 이상과 50세 이상 기저질환자 등 먹는 치료제 처방 대상자로,<br /><br />여기에 해당되지 않으면 스스로 몸 상태를 관리하다가 필요시 병·의원의 진료를 받는 식입니다.<br /><br /> "하루에 한 번씩 전화를 드리는 방식에서 벗어나서 기본적으로는 집에서 스스로 관리를 하는 방식이 되겠습니다. 상태가 안 좋아지시게 되면, 언제라도 동네에 있는 스스로 다니시던 병·의원에 비대면 진료가 가능…."<br /><br />방역당국은 이를 통해 관리 가능한 재택치료 인원을 약 20만명까지 늘린다는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재택치료 키트도 60세 이상 등 집중관리군 환자에게만 지급되고, 키트 구성품도 해열제와 산소포화도 측정기 등 4종으로 줄어듭니다.<br /><br />또 생필품 구매 등을 위한 재택치료 환자 동거가족의 필수 외출이 허용됨에 따라 격리자에게 주던 생필품 지급 여부는 각 지자체가 현장 여건에 따라 결정하도록 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민혜입니다. (makereal@yna.co.kr)<br /><br />#오미크론 #재택치료 #자가관리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