자치경찰, 맞춤형 정책 본격화 …"약자 보호" 방점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전국의 자치경찰이 관할 지역의 특성에 맞는 '맞춤형 치안정책'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구체적인 정책 내용은 서로 다르지만, 범죄 피해자나 어린이·노인 등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는 데 주안점을 뒀다는 공통점이 있다는 분석입니다.<br /><br />조한대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해 전국에서 운영을 시작한 자치경찰.<br /><br />출범 취지에 맞게,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'맞춤형 치안대책'을 본격적으로 내놓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전국 자치경찰의 공통된 추진 방향은 '사회적 약자 보호'입니다.<br /><br />전남은 성폭력·가정폭력범죄 피해자를 지원해주는 지역 기관을 알아볼 수 있는 지도 형식의 체계도를 만들어 운영합니다.<br /><br />경찰은 기관의 구체적인 법적·경제적 지원 내용과 연락처 등을 바로 알 수 있어서 신속한 안내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기존에도 범죄 피해자 지원을 위한 연계 노력들이 많이 있었긴 합니다. 그런데 그 지역에 꼭 맞는 통합적인 자료는 없는 상황이었습니다…(연계망을) 전남경찰청 협업으로 제작하게 돼…"<br /><br />서울은 학대 피해아동의 간병인비를 최대 5일 지원하고, 학대를 당한 노인과 장애인에게도 의료기관 지정과 치료비를 지원할 방침입니다.<br /><br />교통에서의 약자 보호도 자치경찰이 중점을 둔 사안입니다.<br /><br />제주는 동승 보호자 탑승 여부 등을 확인하기 위한 어린이 통학버스 단속에 나섰고, 순찰 차량에 제설제 살포기를 달아 폭설 상황에 대비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경북은 노인 보행사고 위험이 높은 마을 통과 도로 가장자리에 LED 조명이 켜지는 '도로 식별성 강화 사업'도 진행합니다.<br /><br />경찰청은 시도간 치안 불균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시도 자치경찰과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조한대입니다. (onepunch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