오를 일만 남은 환율…더 커지는 물가 압력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마트나 시장에서 뭐 하나 사려고만 해도 높아진 물가에 덜컥 겁이 나기 일쑤죠.<br /><br />원유 등 에너지 가격뿐만 아니라, 환율도 물가의 또 하나의 큰 변수인데요.<br /><br />이 환율마저 앞으로 오를 일만 남아 물가 압력을 더 크게 만들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소재형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1년 전 1,100원 초반대에 머물던 원달러 환율, 최근엔 1,200원 선을 오르내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문제는 더 오를 여지가 많다는 점입니다.<br /><br />당장 다음달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서 기준금리격인 연방기금금리 인상이 확실시됩니다.<br /><br />이미 기준금리 인상을 시작한 한국은행이 추가 인상을 단행해도 금리 차가 좁혀지며 환율의 추가 상승은 불가피합니다.<br /><br />미국 고용호조와 물가 상승세가 예상보다 큰 탓에 한 번에 0.5%포인트 이상 올릴 경우 환율 충격은 더 커질 수도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달 국회 통과가 전망되는 추가경정예산안도 변수입니다.<br /><br />현재 국회에서 35조 원 이상으로 증액이 논의되는데, 이렇게 되면 국채 발행 규모는 더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.<br /><br />국채 발행으로 국가채무가 늘면 대외신인도는 하락하게 되는데, 이 점도 환율 상승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각 기관에서는 이달 말까지 환율이 1,210원까지 오를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 "추가경정예산을 포함한 대규모 재정지출로 인해서 국가 신인도 이슈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우리 통화가치가 약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."<br /><br />원유 등 에너지와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넉 달째 3%대 고공행진하고 있는 가운데, 환율이 물가 상승 압력을 더 크게 만들 수 있다는 이야기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소재형입니다. (sojay@yna.co.kr)<br /><br />#환율 #물가 #국채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