가계대출 첫 두 달 연속 감소…"지속여부 미지수"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난해 이어졌던 가계대출 급증세가 대출문을 아예 닫아버리는 고강도 조치로 연말에 좀 꺾였죠.<br /><br />지난달에도 가계가 은행에서 빌린 잔액이 줄어, 사상 첫 두 달 연속 감소를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, 추세가 이어질지는 좀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조성미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연초는 보통 대출에 숨통이 트이는 시기입니다.<br /><br />가계대출 총량제 여파로 연말 꽉 죄었던 은행 대출 문이 다시 열리는 시기여서인데, 올해는 양상이 조금 달랐습니다.<br /><br />지난 1월 은행권의 가계 대출 잔액이 한 달 전보다 4,000억 원 줄었던 겁니다.<br /><br />2,000억 원 줄었던 지난해 12월에 이어 두 달 연속 감소인데, 관련 속보치가 작성된 2004년 이후 처음 있는 일입니다.<br /><br />주택담보대출은 2조2,000억 원 늘었지만, 신용대출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기타대출이 2조6,000억 원 줄어든 영향으로, 대출문은 다시 열렸지만 은행들의 신용대출 관리가 계속된데다 금리까지 오른 탓입니다.<br /><br />기업들의 성과급이나 설 상여금 덕에 대출이 줄어드는 계절적 요인도 있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다보니 은행권 대출을 누르면 저축은행 같은 제2금융권으로 대출 수요가 몰리던 이전과 달리, 지난달엔 전 금융권에서 가계대출 잔액이 7,000억 원 줄며 풍선효과도 없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, 이런 추세가 이어질지는 미지수입니다.<br /><br /> "은행들이 연초 들어 대출 재개에 나서고 있고, 대출 수요도 상당한 만큼 이런 추세가 이어질지는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."<br /><br />금융수장들은 새해 벽두부터 가계부채 부실화 위험을 경고하며, 관리 강화를 거듭 강조했는데, 문제는 대선 이후입니다.<br /><br />양대 후보 모두 청년층과 무주택자를 겨냥해 주택담보대출비율 완화 등을 공약하고 있어 겨우 나타난 가계대출 관리 성과가 반짝 효과에 그칠 가능성은 여전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조성미입니다.<br /><br />#1월 #가계부채 #소폭 감소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