배와 사과 등에 치명적인 '과수 화상병'이 비상입니다. <br /> <br />올해부터는 방역 체계가 그동안의 매몰에서 사전 예방 쪽으로 바뀌었는데요, <br /> <br />국내 최대의 배 주산지에서 과수 화상병 발생 대비 모의 훈련이 열렸습니다. <br /> <br />김범환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우리나라에서 배가 가장 많이 나는 고장입니다. <br /> <br />평생 배 농사를 지어온 김병식 씨는 과수 화상병이 번지지 않을까 걱정이 태산입니다. <br /> <br />[김병식 / 나주 배 연구회 연합회장 : 아이고, 큰일입니다. 가까운 지역까지 과수 화상병이 퍼져가지고 우리 나주지역으로 전파될까 아주 우려스럽고 심각합니다.] <br /> <br />과수 화상병이 발생하면 가장 중요한 것은 신속한 진단과 격리, <br /> <br />불에 탄 것처럼 시커멓게 변한 배나무가 있다는 농민의 신고를 받고 농업기술센터 직원이 달려가 임시로 진단합니다. <br /> <br />최종 확진 판정이 나오자 감염된 과수원 일대의 출입을 전면 통제하고 곧바로 나무를 벱니다. <br /> <br />베어진 나무는 구덩이에 석회를 뿌리며 차곡차곡 쌓아 흙으로 덮습니다. <br /> <br />[송장훈 박사 /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배 연구소 연구실장 : 실제적으로 모의 훈련식으로 해서 빨리하게 되면 실제 처리하는 과정에서 부딪치는 문제들을, 시행착오를 많이 줄일 수 있는 그런 장점이 있죠.] <br /> <br />과수 화상병 방제 횟수는 꽃이 피기 전 한 차례에서 개화기 두 차례를 더해 모두 세 차례로 늘어났습니다. <br /> <br />과수 화상병을 막기 위해서는 가지를 치는 사람의 이동 통제, 철저한 묘목 관리 등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. <br /> <br />[김영록 / 전라남도지사 : 과수 화상병에 걸리면 모든 과수원을 폐원해야 하는 그런 안타까운 상황이 되기 때문에 철저히 막아야 할 것 같습니다. 사전 방제를 철저히 하고 특히 겨울철에는 궤양이 발생했을 때 이걸 잘 관리해서 번지지 않도록 잘 막아야 한다고 생각하고요.] <br /> <br />지난 2015년 처음으로 발견된 과수 화상병이 번진 곳은 전국 26개 시·군의 천7백여 농가, <br /> <br />과수 화상병 청정지역인 전남은 농작업자 교육과 의무 소독 등 사전 방제 8대 행정 명령 시행을 이달까지 마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YTN 김범환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범환 (kimbh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20213022500109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