바이든이 달라졌다…아프간 철군 수모 반면교사?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조 바이든 대통령이 연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가능성을 선제적으로 거론하며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모습으로 보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아프간 철군 때와는 사뭇 다른 모습이란 평가가 나오는데요.<br /><br />워싱턴 이상헌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미국은 전 세계를 향해 연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임박했다는 메시지를 내놓으며 유럽 동맹들과 소통을 강화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침공 디데이까지 제시하며 선제적으로 우려를 제기하고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입니다.<br /><br />인터넷 매체 악시오스는 이같은 미국의 대응 태도에는 작년 아프가니스탄 철군이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습니다.<br /><br />선제적으로 대응하지 못해 철군이 끝나기도 전에 반군 탈레반이 수도까지 장악한 뼈아픈 기억이 반면교사가 됐다는 것입니다.<br /><br />하루에도 수 차례씩 조 바이든 대통령과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 등 외교·안보 최고위 인사들이 동맹, 파트너 국가와 접촉하고 조율하는 것도 달라진 모습입니다.<br /><br />아프간 철수 때는 미국이 동맹과 정보를 제대로 공유하지 않는 것은 물론 독단적으로 철수를 결정한 뒤 동맹에 통보했다는 비판이 나왔습니다.<br /><br /> "우리는 우리가 받아온 정보들과 그에 대한 평가를 우크라이나 및 동맹국, 파트너들과 공유해왔습니다."<br /><br />만약 실제 전쟁으로 이어진다면 바이든 대통령에겐 상당한 정치적 타격이 될 전망입니다.<br /><br />특히 올해 중간선거를 앞두고 바이든 대통령의 리더십이 약하다고 공격하고 있는 공화당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측의 주장을 한층 강화시킬 가능성이 큽니다.<br /><br />다른 적대국의 도전과 위협을 더 키울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됩니다.<br /><br />CNN은 중국이 자국 영토로 여기는 대만에 대해 더욱 대담한 행동을 하도록 할 가능성이 있다고 봤습니다.<br /><br />그러나 반대로 위기감이 극도로 고조된 상황에서 바이든 대통령이 위기를 극복하고 전쟁을 막아낸다면 그간의 외교적 실책을 만회하며 지지율 반등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연합뉴스 이상헌입니다.<br /><br />#우크라이나 #바이든 #아프간_철군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