우크라이나 잔류 희망 국민 50여명…정부 "대피 설득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우리 정부는 우크라이나 체류 국민의 대피 상황을 점검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여행금지 지정을 예고한 이후 절반이 대피한 가운데, 생활 문제로 잔류를 희망한 국민은 50여 명으로 파악돼 정부는 설득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장윤희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우크라이나에 머물고 있는 국민은 우리시간 15일 기준 197명으로 정부는 파악했습니다.<br /><br />대부분 자영업자와 선교사입니다.<br /><br />체류 국민은 16일까지 170여 명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습니다.<br /><br />여행금지 지정을 예고한 지난 11일 기준 341명에서 절반가량 줄어드는 겁니다.<br /><br />현지에 생활 기반이 있어 잔류 의사를 표명한 영주권자는 약 50명으로 파악됐고, 정부는 대피를 지속 설득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재외국민들은 주로 육로를 통해 대피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주 우크라이나 한국 대사관은 18일까지 매일 한차례 수도 키예프를 떠나는 임차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 버스는 폴란드 국경과 가까운 르비브 지역으로 향합니다.<br /><br /> "정부는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여 현지 체류 우리 국민 대피계획을 지속 점검하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정부는 만일의 상황을 대비해 군용기 등을 급파하는 방안도 준비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우크라이나 상황과 관련해서 국방부에 지원 요청이 오면 재외국민 이송을 위해 적극 협조할 예정입니다."<br /><br />현재 정부는 미국 동맹국으로서 역할에 '대화와 외교적 노력'이란 원론적 입장을 유지하며 상황을 지켜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정부는 우크라이나를 돕기 위한 공적개발원조와 인도적 지원을 검토하는 가운데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을 예의주시할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장윤희입니다. (ego@yna.co.kr)<br /><br />#우크라이나 #잔류희망_국민 #대피_설득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