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취업자 22년 만에 최대폭 증가…기저효과 영향

2022-02-16 0 Dailymotion

취업자 22년 만에 최대폭 증가…기저효과 영향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난달 취업자가 100만 명 넘게 늘면서 거의 22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1월의 고용충격에 따른 기저효과가 큰 원인인데요.<br /><br />60대 이상이 취업자 증가를 이끌었습니다. 차승은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달 취업자는 한 해 전보다 113만 5,000명 늘어, 2,695만 3,000명이 됐습니다.<br /><br />외환위기 이후인 2000년 3월 121만여 명이 증가한 뒤 21년 10개월 만에 가장 큰 증가폭입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 유행으로 지난해 1월 취업자 수가 100만 명가량 급감했던 데 따른 기저효과와 수출 호조 등이 작용한 결과로 풀이됩니다.<br /><br />업종별로는 사업과 개인, 공공서비스에서 59만 명 넘게 늘어 취업자 수 증가를 견인했습니다.<br /><br />오미크론 변이 유행이 시작되면서 방역조치가 강화됐지만 숙박과 음식점업은 12만 8천 명 늘었고, 보건업과 사회복지서비스업에서는 25만 명 증가했습니다.<br /><br />제조업 취업자도 6만 6천 명 증가했고 운수 창고업은 12만 명 넘게 늘었습니다.<br /><br />반면, 도소매업은 5만 6,000명, 금융업과 보험업은 1만 5,000명 감소했습니다.<br /><br />연령별로는 노년층의 증가가 압도적이었습니다.<br /><br />60대 이상 취업자가 52만 2,000명 늘어, 취업자 증가분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한 겁니다.<br /><br />20대는 27만 3,000명, 50대는 24만 5,000명 늘었지만 30대는 2만 2,000명 증가하는 데 그쳤습니다.<br /><br />실업자 수는 114만 3,000명으로 지난해보다 42만 7,000명 줄어, 2000년 8월 이후 감소폭이 가장 컸습니다.<br /><br />실업률도 4.1%로 1.6%포인트 떨어졌습니다.<br /><br />'쉬었음' 인구와 구직단념자가 줄면서 지난달 비경제활동인구도 47만 6,000명 줄어 11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습니다.<br /><br />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자신의 SNS 계정에 "양적, 질적 측면에서 고용의 개선 흐름이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"고 평가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차승은입니다. (chaletuno@yna.co.kr)<br /><br />#취업 #코로나취업 #일자리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