올해 1월 취업자 수가 1년 전보다 100만 명 넘게 늘며 22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증감 비교 대상인 지난해 1월 코로나19 고용 충격으로 취업자가 100만 명 가까이 줄면서, 올해 증가 폭이 크게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권남기 기자! <br /> <br />올해 1월 취업자가 100만 명 넘게 늘었죠. <br /> <br />고용 회복세도 있지만, 기저효과 영향도 있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지난달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113만5천 명 증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외환위기 이후인 지난 2000년 3월 이후 21년 10개월 만의 최대 증가입니다. <br /> <br />기록적인 취업자 증가의 원인으론 먼저 '기저효과'가 꼽힙니다. <br /> <br />증감의 비교 대상인 지난해 1월 취업자 수가 코로나 고용 충격에 98만 명 넘게 줄었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비교 대상이 워낙 크게 줄었던 터라 올해 1월 취업자가 그만큼 많이 늘어난 것처럼 보이는 겁니다. <br /> <br />세금을 투입한 정부 직접일자리도 취업자 수를 늘리는 데 영향을 줬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말 홍남기 부총리의 발표 들어보시죠. <br /> <br />[홍남기 /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(지난해 12월) : 취약계층의 지원 강화 측면에서 내년 1월 중 직접일자리 60만 명 이상의 조기 채용을 추진하고, 아울러 고용촉진장려금 지급 확대도 적극 추진해 나가겠습니다.] <br /> <br />실제로 정부 일자리의 영향이 큰 보건복지업에서 무려 25만 명이 늘었고, 공공행정 분야도 4만 명이 증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물론, 기저효과와 정부 직접일자리뿐 아니라, 비대면·디지털 분야의 발전과 수출 호조 등에 따라 고용 회복세가 계속되는 점도 취업자 수를 늘리는 데 영향을 미쳤습니다. <br /> <br />1월 취업자는 계절 요인을 빼면 지난달과 비교해서도 6만8천 명이 늘었고, 특히, 인구 감소 등의 영향에 22개월 연속 줄었던 30대 취업자도 증가세로 돌아섰습니다. <br /> <br />앞서 37개월 연속 감소했던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는 지난해 12월에 이어 올해 1월도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산업별로 보면 숙박과 음식점업 취업자가 두 달 연속 늘었고, 제조업과 운수·창고업 등에서도 취업자가 증가했지만, 도·소매업은 감소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, 일용직 일자리는 9개월 연속 줄며 고용 취약계층의 상황은 여전히 어렵다는 걸 보여줬습니다. <br /> <br />[공미숙 / 통계청 사회통계국장 : 이번 달에 보면 도·소매업하고 건설업에서 감소한 영향이 있고, 일용직이 많은 도·소매업이나 건설업 상황이 안 좋으니까….] <br /> <br />홍... (중략)<br /><br />YTN 권남기 (kwonnk09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20216135209664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