올해 심한 겨울 가뭄이 이어지면서 산불 발생 건수가 예년보다 2배 이상 급증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산불로 인한 피해를 줄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? <br /> <br />취재 기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. 김진두 기자! <br /> <br />경북 영덕 산불 상황부터 알아보죠. <br /> <br />현재 진화가 완료됐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아직 주불이 완전히 잡히지는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진화율은 70%를 넘어 산림 당국은 오후 3시를 전후해서 진화가 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밤사이가 영덕 산불의 고비였는데, 진화 인력이 투입돼 산불 확산을 막았고 일출 이후부터 헬기 40대와 인력 2,276명이 투입돼 불을 잡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올겨울 산불이 심상치 않습니다. <br /> <br />예년보다 산불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면서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 그렇습니다. <br /> <br />우선 겨울 가뭄이 심각합니다. <br /> <br />강수량이 예년의 30% 정도에 머물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수도권과 영남, 영동지방이 바짝 메말라 있는데요, <br /> <br />올해 1월부터 어제까지 발생한 산불이 148건으로 예년의 2배를 넘었습니다. <br /> <br />3월 강우량도 예년보다 적을 것으로 보여 대형산불 우려가 그 어느 해보다 큰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산불이 발생했을 때 인명이나 재산 피해를 줄이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우선 등반자는 대피로와 도로와 인접한 하산길을 미리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<br /> <br />대피로와 도로는 나무나 풀이 치워져 있어 가장 빨리 안전지대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됩니다. <br /> <br />만일 전면에서 산불이 다가오면 연기와 불길의 방향을 잘 살핀 뒤 주 이동방향에서 벗어나 바람을 등지고 최대한 빨리 대피해야 합니다. <br /> <br />이번 영덕 산불로 주민 대피령이 내려졌는데요, <br /> <br />대피하기 전에 문과 창문을 닫고, 집 주변에 물을 충분히 뿌려 놓는 게 좋습니다. <br /> <br />또 가스통이나 기름통, 장작 등은 미리 치워놔야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YTN 김진두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진두 (jdkim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0217123732410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