국내 아이스크림 시장의 85%를 차지하는 롯데와 빙그레, 해태가 4년 동안 서로 짜고 가격을 올려오다 1천억 원이 넘는 과징금을 물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소비자 불신을 없앤다며 이들이 추진한 '아이스크림 가격 정찰제'도 값을 올려보려는 담합의 결과였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권남기 기자! <br /> <br />롯데와 빙그레, 해태 등 유명 아이스크림 업체들이 모두 적발됐습니다. <br /> <br />만든 회사가 달라도 아이스크림 가격이 거의 비슷한 데는 다 이유가 있었네요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그렇습니다. <br /> <br />롯데제과와 빙그레, 해태 등 국내 아이스크림 시장의 85%를 차지하는 유명 업체들이 서로 짜고 가격을 올리다 공정거래위원회에 적발됐습니다. <br /> <br />가격 담합은 지난 2016년부터 4년 동안 이뤄지다 공정위가 현장 조사에 착수한 뒤에야 중단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들 업체는 월드콘이나 부라보콘과 같은 개별 아이스크림값을 올리는가 하면, 전체 대형마트에서 파는 가격을 종류별로 인상했습니다. <br /> <br />나중엔 마트에서 파는 모든 유형의 아이스크림 판매가격을 한꺼번에 최대 20%씩 올리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18년 업체들은 파는 곳마다 가격 차이가 커 생기는 소비자들의 불신을 없앤다며 아이스크림 정찰제를 도입했는데, 이 역시 서로 짜고 값을 올리려는 꼼수였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 <br /> <br />또, 서로 협의해 편의점 등에 납품하는 가격을 올리거나 '2+1'과 같은 할인 행사 품목을 줄이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경쟁을 막기 위해 동네 슈퍼마켓과 같은 거래처를 서로 빼앗지 않기로 약속하기도 했는데, 이 결과 담합 기간 낮은 납품가로 상대방 거래처를 빼앗는 일이 7백 회 가까이 급감했습니다. <br /> <br />[조홍선 / 공정거래위원회 카르텔조사국장 : 경쟁사가 거래 중인 소매점에 낮은 납품가격, 즉 높은 지원율을 제시하여 자신을 거래처로 전환시키면 그 사업자는 자신의 기존 소매점을 경쟁사에게 제공하기도 하였습니다.] <br /> <br />공정거래위원회는 롯데지주와 빙그레, 해태제과 등 5개 빙과류 제조 사업자에 대해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1천350억4천500만 원을 부과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, 빙그레와 롯데푸드는 검찰에 고발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공정위는 지난 2007년에도 롯데와 빙그레, 해태의 가격 담합을 적발해 과징금 45억 원을 부과한 바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경제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권남기 (kwonnk09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20217123852331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