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다음뉴스입니다.<br> <br>경북 영덕 산불이 이틀째 계속되다 36시간 만에 겨우 큰 불길을 잡았습니다. <br> <br>축구장 560개 규모의 산림이 피해를 입었습니다. <br> <br>화재 원인은 농업용 반사필름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배유미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땅에서는 흰 연기가 피어오르고 곳곳에서 작은 불씨가 되살아납니다. <br> <br>흙을 뒤집고 물을 뿌리며 큰 불길이 잡힌 자리에선 잔불 정리가 한창입니다. <br> <br>축구장 560개 면적과 맞먹는 400ha를 집어삼킨 산불은 발화 36시간 만에 큰 불이 잡혔습니다. <br> <br>[최병암 / 산림청장] <br>"바람의 속도가 줄어들지 않아서 굉장히 진화에 어려움을 겪었다는 말씀드립니다." <br> <br>이번 진화 작전에는 헬기 40대가 투입됐습니다. <br> <br>지난 10년 동안 최대 규모입니다. <br> <br>송전선로 주변으로 불이 번지는 걸 막기 위해서였습니다. <br> <br>17개 마을 주민 2천여 명이 대피했지만 인명 피해는 없었습니다. <br> <br>소방 당국은 혹시 모를 사고에 대비해 차들로 방어막을 쳤습니다. <br> <br>[안정자/ 인근 주민] <br>"우리 과수원에 (불이) 넘어와서 물차(소방차) 들어오라고 내가 막 애원을 했지. 생각보다 빨리 끄고 많이 동원해줘서 고맙고." <br> <br>[김순옥 / 인근 주민] <br>"어제는 안절부절 집에서 있을 수가 없어요. 소방차도 많이 오고 하니까 걱정이 좀 덜 되더라고." <br> <br>화재 원인은 바람에 날아가 전신주에 걸린 농사용 반사필름으로 추정됩니다. <br> <br>반사필름은 과일이 햇볕을 골고루 받게 해 사과 등의 빛깔을 잘 내게 하고 생육과 품질을 높여주는 농자재입니다. <br> <br>올 들어 전국에서 발생한 산불만 148건. <br> <br>건조한 날씨 속에 작은 불씨가 큰 불로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배유미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김건영 <br>영상편집 : 김민정<br /><br /><br />배유미 기자 yum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