코로나19 확산세가 거세지면서 자가검사키트를 찾는 사람들이 크게 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자기검사키트의 정확성을 둘러싼 논란도 꾸준한데요, 자가검사키트의 한계가 있는 만큼 PCR 검사 역량을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최명신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방송인 전현무 씨는 자가검사키트를 통한 신속항원 검사를 세 차례 실시했는데 모두 음성이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네 번째 검사에서 양성이 나왔고, 이후 이뤄진 PCR 검사에서 최종 양성 판정을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가 고위험군을 제외하고 신속항원검사로 1차 검사를 진행하고 있는 가운데 검사 정확성을 둘러싼 논란이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의료진에게서 신속항원검사를 받지 않고 개인이 자가검사키트를 사용할 경우엔 정확도가 더 떨어진다는 지적입니다. <br /> <br />검사의 정확성을 뜻하는 민감도의 경우 의료진의 신속항원검사는 50% 미만, 개인의 자가검사키트는 20% 미만으로 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백순영 / 가톨릭대 의대 명예교수 : 무증상인 경우에 있어서는 사실은 음성이 나올 가능성이 높아서 실제로는 양성인데 음성이 나오는 가짜 음성, 즉 위음성이 나올 가능성이 시기적으로는 있을 수가 있는 부분들이 민감도의 차이 때문에 그렇죠.] <br /> <br />정부는 PCR 검사 역량이 하루 80만 명 정도에 불과해 확증자가 폭증하는 상황에서 신속항원검사 활용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 검사 시간 15~30분을 반드시 지켜주고, 해외 직구 대신 성능이 입증된 국내 시판 제품만을 사용해 달라고 당부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전문가들은 신속항원검사가 감염 확산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. <br /> <br />[신상엽 / 감염내과 전문의 : 일단 PCR 검사 이런 부분들이 아니면 사실 스크리닝의 기능이 얼마 없고요. 자가검사키트로 그러니까 검사를 하는 것까지는 좋은데 그걸로 인해서 뭔가 새롭게 확진자를 빨리 찾아내고 학교가 더 안전해져야 되는데 별로 그렇지 못하다는 거죠.] <br /> <br />코로나 사태가 종식된 후 다른 감영병에 대비하는 차원에서라도 PCR 검사 역량 확대는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최명신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최명신 (mscho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0219215618173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