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 세계의 이목이 쏠린 우크라이나 사태, 북한 역시 주시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과 러시아, 두 강대국 사이에서 위기에 처한 우크라이나 사태가 한반도 정세에는 어떤 영향을 끼칠까요? <br /> <br />한연희 기자가 짚어봤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1991년, 소련 해체 당시 우크라이나는 미국, 러시아에 이은 세계 3위 규모의 핵 보유국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구소련이 미국과 서유럽을 겨냥해 우크라이나에 핵무기를 배치했기 때문인데, 당시 보유했던 핵탄두만 1,700여 개, 대륙간탄도미사일, ICBM도 170여 개에 달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우크라이나는 1994년 러시아, 미국, 영국과 '부다페스트 각서'를 체결하고 비핵화에 나섭니다. <br /> <br />핵무기를 포기하는 대신 안전보장과 경제원조를 약속받은 겁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정작 지난 2014년 러시아가 크림 반도를 합병할 당시 미국과 영국은 속수무책, 각서는 전혀 힘을 발휘하지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리고 2022년 또다시 닥친 위기. <br /> <br />안전 보장 약속을 믿고 핵을 포기한 뒤 여러 고초를 겪고 있는 우크라이나의 현 상황은 비핵화 요구를 받고 있는 북한에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을 거란 분석입니다. <br /> <br />[박병광 /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책임연구위원 : 북한은 이런 걸 보면서 핵을 포기하게 되면 결국은 자국의 정권 안보나 체제 안보가 보장될 수 없다는 생각을 할 수가 있죠." "북한은 지속적으로 핵을 포기하기보다는 핵무력을 증강시키는 쪽으로 나갈 가능성이 높아지는 겁니다.] <br /> <br />단기적으로는 미국의 집중도가 분산되는 상황을 노려 북한이 도발에 나설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[박원곤 /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 : 북한의 그 틈을 활용을 해서 또 자신들이 원하는 미사일 시험 도발을 할 수 있고 미국이 어려운 상황에 있는 것을 활용해서 좀 더 압박을 가해 자신들이 원하는 것을 받아낼 수도 있죠.] <br /> <br />북한은 우크라이나 사태가 불거진 이후, 미국을 비판하고 러시아를 지지하는 글을 외무성 홈페이지에 올리기도 했는데 우크라이나 사태가 북중러 협력을 강화하고 반대 편에 있는 미국을 압박하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는 분석입니다. <br /> <br />YTN 한연희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한연희 (hyhee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20219223432542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