우크라, 러 침공 위기에 '핵포기 정책' 재고 시사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한때 세계 3위 핵강국이었던 우크라이나 내부에서는 비핵화 이후 러시아의 침공 우려에 놓이게 되자 핵포기의 대가가 크다는 자성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고 앞서 전해드린 적이 있는데요.<br /><br />실제로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핵 재무장을 시사했습니다. 이봉석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구소련 붕괴 이후 우크라이나는 미국과 러시아에 이은 세계 3위 핵무기 강국이었습니다.<br /><br />핵탄두 1,656개, 대륙간탄도미사일 176기, 전략 핵폭격기 40대 등을 보유하고 있었습니다.<br /><br />이랬던 우크라이나가 비핵화를 완료한 건 1996년.<br /><br />모든 보유 핵무기를 러시아로 넘겨 폐기한 겁니다.<br /><br />이보다 2년 앞서 우크라이나는 핵무기를 포기하는 대신 미국, 러시아 등으로부터 독립과 영토 보전을 약속받은 '부다페스트 안전 보장 양해각서'에 서명했습니다.<br /><br />비핵화를 견지해오던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의 침공 우려로 안보 위기에 놓이게 되자 다시 핵무장을 할 수 있다는 의지를 넌지시 내비쳤습니다.<br /><br />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은 부다페스트 양해각서 이행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관련국들의 회의 소집을 촉구하면서 우크라이나가 각서가 작동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모든 권리를 가진다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 "우리는 아무도 공격하지 않을 것이지만 모든 준비가 돼 있습니다. 물론 우리가 수동적일 수 없습니다."<br /><br />우크라이나는 특히 각서 서명국인 러시아가 2014년 크림반도를 병합하면서 우크라이나의 영토적 통합성 보장 약속을 위반했다고 주장해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, 우크라이나가 다시 핵을 보유하기는 쉽지 않습니다.<br /><br />미국 등 서방국들도 핵무기 비확산 체제를 흔들 우크라이나의 핵무장을 용납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이봉석입니다.<br /><br />#우크라이나 #핵무기 #러시아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