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앞서 보셨듯이 청와대는 현재 코로나가 어려운 상황이 아니라 했지만 현장의 모습들은 많이 다릅니다. <br> <br>먼저 생후 7개월 된 아기가 재택치료를 받다 숨졌습니다. <br> <br>심정지 상황에서 구급차를 불렀지만 병원 11곳에서 이송을 거절당했습니다. <br> <br>병상 부족 문제는 없다는 방역당국의 설명을 어떻게 이해해야할지 참으로 답답합니다. <br> <br>홍유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> <br>[리포트] <br>코로나에 확진된 생후 7개월 된 남자아이가 경기를 일으킨다는 119 신고가 접수된 건 지난 18일 저녁 8시 33분. <br> <br>6분 만에 소방대원이 도착했더니 심정지 상태로 추정됐고 심폐소생술을 하며 수원 자택에서 안산의 한 병원으로 출발한 건 9시가 넘어서였습니다. <br><br>부모 모두 확진자여서 병원에 따라갈 수도 없었습니다. <br> <br>[소방 관계자] <br>"부모님은 못 가고 할머니가 계셨대요. 할머니는 확진이 안 되셔서 할머니가 구급차 타고 같이 보호자로 갔어요." <br> <br>돌도 안 된 아이는 16분 만에 병원에 도착했지만, 사망 판정을 받았습니다. <br> <br>구급대원이 도착해 병원으로 출발하기까지 22분이나 걸린 건 근처 병원 11곳에서 이송을 거절했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[A병원 관계자] <br>"응급실 내 격리실이 다 꽉찬 상태여서 수용을 할 수가 없는 상황이었다고." <br> <br>[B병원 관계자] <br>"야간엔 소아과 전문의가 없어서 애기가 너무 어리기도 하고." <br> <br>[C병원 관계자] <br>"코로나 확진자 진료를 전담하고 있기 때문에 응급실 운영을 따로 하고 있진 않거든요." <br> <br>방역당국은 입원 병상은 부족하지 않다며 응급 의료체계의 문제라고 선을 그었습니다. <br> <br>[전해철/ 행정안전부 장관] <br>"효과적 대응 체계 개편이 병행되고 있는 만큼, 의료여력은 충분한 상황입니다." <br> <br>최근 50대 재택치료자가 숨진 데 이어 영아 사망사고까지 잇따르면서 하루 10만 명씩 쏟아지는 확진자와 가족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홍유라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박재덕 정승호 <br>영상편집 : 이재근<br /><br /><br />홍유라 기자 yura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