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'물가 전쟁의 파편'...수입 달걀 2천만 개 폐기 속사정 / YTN

2022-02-22 0 Dailymotion

치솟는 밥상 물가 관리를 위해 정부가 지난해부터 물가와의 전쟁이라고 불러도 무방할 정도로 총력전을 펴고 있는데, 이로 인한 파편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물가 안정 대책의 하나로 달걀 수억 개를 긴급 수입한 것인데, 어찌 된 일인지 수입 달걀 2천만 개가량이 혈세 수십억 원을 들여 폐기에 들어갔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 기자 연결해 속사정 알아보겠습니다. 김상우 기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경제부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수입 달걀 폐기량이 만만치 않은데, 먼저 달걀은 깨지기도 쉽고 특히 신선도가 중요한데 수입하게 된 배경부터 살펴보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달걀 살 때 혹시라도 깨졌나, 더럽지는 않은지 살펴보고, 산란 과정 등을 살피고 구입하는 게 보통인데요. <br /> <br />밥상 물가, 식음료 물가에 달걀노른자처럼 핵심으로 영향을 주는 게 바로 달걀값입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폐기량이 많아진 배경을 보면 코로나 사태가 터진 해인 2020년 말부터 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지난해 여름 무렵까지 꾸준히 발생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로 인해 지난해 대략 7~8월 기준으로 보면 전체 산란계의 25%인 1,700만 마리가 선제방역 차원에서 매몰 처분됐습니다. <br /> <br />산란계 수가 급감해 달걀값이 급등한 거죠. <br /> <br />2019년 한판에 5천 원 초반대에서 7, 8천 원, 심지어 9천 원대까지 올라 금값 달걀이라는 말이 나오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다 코로나 사태 이후 외출을 자제하는 분위기가 확산하면서, 달걀 사용 수요량이 크게 늘어 정부가 여러 차례 현장 점검을 하면서 달걀값 잡기 위해 달걀 수입을 대폭 확대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7월에는 한 달 전보다 물량이 배 이상 늘어 2억 개를 수입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물가 잡기 총력전 과정에서 달걀 수입을 늘렸는데 국산도 그렇지만 품질에 문제가 되면 일부야 폐기할 수 있다고 생각되는데, 양이 만만치 않은 것 같아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바로 그 점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양계업계는 조류인플루엔자로 매몰 처분 피해를 본 산란계 농가에 달걀 낳는 닭 공급을 위한 보상금 지급이 먼저라며 수입 달걀 확대는 나중에 문제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는데요. <br /> <br />수입 과일이나 고기 등과는 달리 수입 달걀에 대한 국내 선호도가 많이 떨어져 수요가 떨어져 과잉으로 이어질 것이다 이런 주장이 나왔는데 현실화됐다고 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농수산물유통공사는 지난달 입찰 홈페이지를 통해 수입 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상우 (kimsang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20222130630817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