영유아나 임신부는 코로나19에 확진되더라도 일반관리군으로 분류돼 재택치료를 하고 있는데요, <br /> <br />긴급한 순간에 이송할 병원이 마땅치 않아 생명까지 위협받는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응급 상황에서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취재기자와 알아봅니다. <br /> <br />황보혜경 기자, 안녕하세요. <br /> <br />최근에 코로나19에 걸려 재택치료를 받던 생후 7개월 아기가 갑작스럽게 숨지면서 안타까움을 자아내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치료받을 응급실을 수소문하는 과정에서 여러 번 거절당했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18일, 경기 수원에서 코로나19 재택치료를 받던 A 군이 상태가 악화해 숨졌습니다. <br /> <br />17일에 확진 판정을 받고 불과 하루 만입니다. <br /> <br />호흡곤란과 경기를 일으킨다는 신고를 받고 구급대원이 집에 도착했을 때 A 군은 이미 심정지 상태였습니다. <br /> <br />심폐소생술을 하면서 급히 응급실이 있는 병원들을 수소문했지만 일부 병원에서 거부한 것이 알려지면서 논란이 일었습니다. <br /> <br />응급실에 자리가 없다, 확진자는 감염병 전담병원으로 가야 한다, 영아 진료가 안 된다는 등의 이유였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병상 부족 문제는 익히 알려졌지만, 영아 진료가 안 된다는 건 무슨 얘긴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A 군은 아직 돌도 안 된 아기입니다. <br /> <br />증상에 대해 말을 할 수 없다 보니 진료가 쉽지 않은 건데요. <br /> <br />일부 병원들은 응급실에 소아청소년과 전문의가 없어서 A 군을 받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. <br /> <br />목소리를 직접 들어보시죠. <br /> <br />[부근 종합병원 관계자 : 아이들은 말을 못 하니까 소아과에 대한 전문성이 있는 데로 가야죠. 대학병원에서는 그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데, 일반 지역 병원에선 그걸 소화하지 못해요.] <br /> <br />설상가상으로 소아과 전문의가 있는 대형병원엔 비어있는 격리 병상이 없었는데요, <br /> <br />소방대원이 무려 11곳에 전화를 돌린 끝에 12번째 병원에서야 가능하다는 답변을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A 군 집에 도착한 지 21분 만에 17km 넘게 떨어진 안산 지역 병원으로 출발했지만 결국, 사망 판정을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유아는 언제든 응급상황에 놓일 수 있는 만큼 특수성을 고려해야 할 것 같은데, 소아 전문 병원은 없나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보건복지부에선 지난 2016년부터 소아전문 응급의료센터 지원사업 추진해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곳에선 소아 전담 응급실을 별도로 운영해 위급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데요. <br /> <br />전문의 2명을 포함해 소아 ... (중략)<br /><br />YTN 황보혜경 (bohk1013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0222143230751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