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부 "우크라이나 주권 존중돼야"…교민 안전·경제 영향 주시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정부는 우크라이나의 주권은 존중되어야 한다며 평화적 해결 방안을 촉구했습니다.<br /><br />현지에 남아있는 교민들의 안전한 대피에도 만전을 기하면서, 이번 사태가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장윤희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우크라이나 동부에 군을 파견하라는 러시아 푸틴 대통령의 지시가 전 세계에 타전된 후, 우리 정부도 전개 상황에 촉각을 곤두세웠습니다.<br /><br />우선 정부는 우크라이나의 주권과 영토 보존은 존중되어야 한다며 현 사태에 심각한 우려를 표명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면서 교민 상황과 경제 영향을 점검하며 분주한 모습이었습니다.<br /><br />문재인 대통령은 사태의 심각성을 감안해 국가안전보장회의 및 대외경제안보전략회의를 직접 주재했습니다.<br /><br />연석회의에는 외교·국방·경제부처 장차관들이 대거 참석했습니다.<br /><br /> "우크라이나 거주 교민들의 보호와 철수에 만전을 기하고, 관련국들과도 긴밀히 협력해 주기를 바랍니다."<br /><br />현재 우크라이나에는 공관원과 크림지역 교민을 제외하고 63명의 국민이 체류 중인 것으로 외교부는 파악했습니다.<br /><br />이 중 절반 이상이 철수 의사를 밝힌 가운데 정부는 유사 시 군 항공기 등을 급파하는 방안도 준비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 "국방부에 요청이 오면 재외국민 이송을 위해 적극 협조할 예정입니다."<br /><br />정부는 우크라이나 사태가 우리 경제에 미칠 파장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전쟁을 벌이고 미국이 러시아를 제재하면 세계 공급망과 금융시장이 타격을 입어 우리 경제도 악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.<br /><br />기획재정부 등 경제 유관부처는 '우크라이나 비상 TF'를 중심으로 수출, 에너지, 공급망, 곡물 등 부문별 일일점검체계를 강화해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한편 외교부는 미국 등이 추진하는 러시아에 대한 제재 동참 여부에 대해선 "국제사회와 관련 정보를 공유하면서 현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"며 말을 아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장윤희입니다. (ego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