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오늘 코로나 신규확진자는 10만 명, 위중증 환자 수는 500명에 육박합니다. <br> <br>그런데 조금 전 6시를 기준으로 11만 명을 넘겨서 또 역대 최다 기록이 됐습니다. <br> <br>그런데도 정부는 "코로나 출구의 초입이다, 풍토병으로 자리잡는 단계다" 라고 평가하는데요.<br> <br>너무 섣부르다는 우려가 나옵니다.<br> <br>서상희 기자입니다<br><br>[리포트]<br>정부는 지금의 오미크론 대유행이 풍토병으로 가는 초기 단계라고 진단했습니다. <br> <br>정점을 지나면 방역패스를 축소하고 거리두기를 완화하는 등 일상회복을 추진할 수 있다고도 했습니다. <br> <br>[박향 /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] <br>"오미크론도 다른 감염병과 같은 관리체계로 이행할 수 있을 것입니다. 아직은 갈 길이 멀지만 출구를 찾는 초입에 들어선 셈이 되겠습니다." <br> <br>매일 10만 명 안팎의 확진자가 나오지만 위험도는 낮아졌다는 판단 때문입니다. <br><br>오미크론 치명률이 0.18% 델타 변이의 4분의 1수준이고 접종 완료자의 치명률은 계절 독감보다 낮습니다.<br> <br>문제는 오미크론 대유행의 정점이 아직 오지 않았다는 겁니다. <br><br>3월 하루 확진자 최대 27만 명, 위중증 환자 1000명 이상이 예측되는 상황에서 지난해 11월 위드코로나 당시 병상 부족 사태가 재현될 수 있습니다. <br> <br>[정기석 / 한림대 성심병원 호흡기내과 교수] <br>"(재택치료 중) 위험한 환자들을 중환자가 되지 않게 하고 중환자실도 잘 준비해서 치료가 잘 되게 하고 이런 걸 고민해야지…" <br> <br>의료진 등 필수 인력의 감염도 속출합니다. <br> <br>서울의 한 대학병원에서는 환자와 의료진 30여 명이 집단감염돼 병동이 폐쇄되고 외래진료가 중단됐습니다. <br><br>세계보건기구도 채널A에 오미크론으로 사망자가 나올 수 있고, 경증 환자들로도 병상은 꽉 찰 수 있다고 밝혀 섣부른 낙관론을 경계했습니다.<br> <br>채널A 뉴스 서상희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박연수 <br>영상편집 : 장세례<br /><br /><br />서상희 기자 with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