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해 출생아 26만 5백 명…통계 작성 이후 최저 <br />평균 출산 연령 33.4세…35살 이상 산모 비중 35% <br />통계청 장래인구 추계상 올해 합계출산율 0.77명 <br />고령화·코로나19 영향…지난해 사망자 역대 최다 <br />2년 연속 인구 자연감소…지난해 5만 7천 명↓<br /><br /> <br />지난해 출생아 수가 역대 최대로 줄고 사망자는 가장 크게 증가하며 2년 연속 인구가 감소했습니다. <br /> <br />여성 한 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합계출산율은 지난해 0.81명으로 떨어졌는데, 올해는 0.7명대까지 추락할 것으로 전망됩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오인석 기자 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해 태어난 출생아 수는 26만 5백 명으로 1년 전보다 1만 1,800명이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출생아는 2017년 30만 명대로 떨어진 뒤 3년 만에 20만 명대로 진입했고, 갈수록 감소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주 출산 연령대인 30대 여성 인구가 지난해 9만 명 가까이 줄고, 혼인도 2만 1천 건이나 감소한 것이 주요 원인입니다. <br /> <br />평균 출산연령은 33.4세로 전년 대비 0.2세 상승했고, 35살 이상 고령 산모 비중은 35%로 1.2% 포인트 증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여성 한 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합계출산율은 지난해 0.81명으로 떨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2019년 기준으로 OECD 국가 중 꼴찌였는데, OECD 평균 합계출산율은 1.61명 입니다. <br /> <br />통계청의 장래인구 추계에 따르면, 올해 합계출산율은 0.77명으로 0.7명대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 됩니다. <br /> <br />[노형준 / 통계청 인구동향과장 : 30대 여성 인구가 감소한 부분, 그리고 최근에 10년째 계속해서 혼인 건수가 감소하고 있었던 부분도 누적해서 출생아 수 감소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…] <br /> <br />반면, 고령화와 코로나 영향으로 지난해 사망자 수는 31만 7천8백 명으로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많았습니다. <br /> <br />사망자는 60대 이상 고령층에서 주로 증가했는데, 남녀 모두 80대에서 사망자가 가장 많았습니다. <br /> <br />출생아보다 사망자 수가 더욱 늘면서 인구 자연감소는 2년째 이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인구는 6만 명 가까이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통계청의 장래인구 추계에 따르면, 인구 감소가 더욱 확대되면서 약 50년 뒤인 2070년엔 51만 명이 자연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습니다. <br /> <br />50년 뒤 청년 인구는 반 토막이 나고, 인구의 절반 가까이는 65세 이상 노인이 차지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. <br /> <br />YTN 오인석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오인석 (insukoh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20223212500382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