밀·옥수수 가격 급등 우려…곡물 수급 관리 나선 정부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서 두 국가의 주력 수출 곡물인 밀과 옥수수 수입에 차질이 생기는 건 아닌지 우려가 나오는데요.<br /><br />정부는 직접적인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했습니다.<br /><br />식품업계는 사태가 장기화 되지 않을까 예의 주시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한지이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사료용 밀과 옥수수 수입량은 연간 1,540만톤입니다.<br /><br />다만 정부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, 두 국가에서 들여오는 양은 전체의 10% 수준이라 단기적인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분석했습니다.<br /><br />농식품부는 사료용 밀의 경우 오는 7월 말, 옥수수는 6월 중순까지 쓸 수 있는 물량이 확보돼 있다며, 계약 물량까지 포함할 땐 밀은 내년 2월, 옥수수는 내년 7월까지 소요 물량을 확보해 놓고 있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다만 사태가 장기화할 경우 업계의 부담 완화를 위해 식품 원료구매자금 융자 금리 인하와 사료 대체 곡물인 겉보리 등의 할당 관세 적용 등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 "기재부와 협의를 시작할 것이고요. 업계 자체적으로도 사료 원료의 배합 비중을 조정한다든지 이미 계약된 물량 중에 우크라이나 산이 있으면 다른 원산지로 변경한다든지 그런 자체적인 노력도 같이 추진할 계획입니다."<br /><br />러시아 현지에 생산 기지를 둔 롯데제과와 오리온, 팔도 등 국내 식품업계는 당장 원재료 공급에 차질은 없지만 상황이 장기화 될 경우를 우려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러시아 현지에서 원재료 수급 등의 문제가 생길 경우를 대비해서 인근 국가에서 조달하는 방법을 검토하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이상 기후 탓에 최근 국제 곡물가가 오른 만큼 이번 사태가 장기화된다면 국내 밥상 물가에 미치는 여파도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한지이입니다. (hanji@yna.co.kr)<br /><br />#밀옥수수 #가격폭등 #밥상물가 #악영향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