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미국은 러시아에 맞서 고강도 제재안을 발표했습니다.<br> <br>그러나 타격을 줄 결정적인 한 방이 없다는 비판도 나옵니다. <br> <br>워싱턴 연결합니다.<br> <br>유승진 특파원, <br><br>[질문1] 이번 공격에 대한 백악관의 기류는 어떻습니까?<br><br>[리포트]<br> 네, 백악관에서 침공을 지켜본 바이든 대통령은 아침부터 국가안보회의를 진행했고, G7 정상들과 화상으로 이번 사태를 논의했습니다. <br> <br> 이후 연설을 통해 이번 공격의 책임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게 있다는 점부터 명확히 했습니다.<br> <br> [조 바이든 / 미국 대통령] <br> "푸틴은 침략자입니다. 전쟁을 선택했고 이제 그와 러시아는 결과를 감당해야 할 것입니다."<br> <br>[질문2] 그렇다면 바이든 대통령의 이번 추가 응징 카드는 무엇인가요? <br> <br> 네, 먼저 항공우주나 조선 산업 등 러시아의 핵심 산업에 타격을 주기 위해 미국의 소프트웨어나 기술이 들어간 반도체, 통신장비 등의 러시아 수출을 통제하겠다고 밝혔고, 스베르방크와 VTB 등 러시아 대형은행의 미국 내 자산을 동결하고 서방 금융기관과의 거래를 금지시키는 등 돈줄 죄기도 수위를 더 끌어올렸습니다. <br> <br> 바이든 대통령은 수출 통제와 금융 제재, 2가지 핵심 제재를 시작으로 "러시아가 국제무대에서 왕따가 될 것"이라고 엄포를 놓았습니다. <br> <br> 하지만 러시아의 국제금융결제망 배제안이나 원유나 천연가스 등 에너지 수출 금지 조치 등 강력한 한 방이 없어 실제 타격을 줄지 우려도 제기됩니다. <br> <br>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모디 인도 총리 등 각국 정상들도 푸틴 대통령과 잇달아 전화 회담을 열고 군사 작전의 즉각 중단을 촉구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 이런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은 오늘 이번 사태에 대해 비상 대응 TF를 통해 선제적으로 대응할 것을 지시했습니다. <br> <br> 지금까지 워싱턴에서 채널A 뉴스 유승진입니다.<br><br>유승진 워싱턴 특파원<br><br> 영상취재 : 정명환 <br> 영상편집 : 이혜리<br /><br /><br />유승진 기자 promotion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