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미국이 러시아에 대한 수출 규제 카드를 꺼내들면서 우리 정부와 기업도 오늘 긴박하게 움직였습니다. <br> <br>수출 규제 품목에 포함된 것들 대부분이 우리 핵심 산업이기 때문입니다.<br> <br>빨간불이 켜진 우리 경제, 조현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미국이 러시아에 대해 반도체, 컴퓨터 등 7개 분야 57개 품목에 대한 수출 제한 조치를 발표하자 정부는 관련 업계를 대상으로 <br>긴급 간담회를 열었습니다. <br> <br>[여한구 /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] <br>"오늘부터 무역안보반을 하루 단위로 가동할 계획입니다." <br> <br>수출 규제는 언제부터 적용되고 어떤 품목의 수출이 막히는지 업계의 질문이 쏟아진 상황. <br><br>정부는 간담회에서 "미국의 대러 제재 동참 수위와 수출 규제 세부 품목을 검토 중"이라고 밝혔습니다.<br> <br>미국의 수출 규제에 가장 촉각을 곤두세운 곳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같은 국내 반도체 업체입니다. <br> <br>우리나라 핵심 수출품인 반도체에는 미국의 소프트웨어나 기술이 적용돼 수출이 막힐 수 있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지난해 한국 반도체의 러시아 수출액은 885억원 규모. <br><br>전체 반도체 수출액의 0.06% 수준으로 비중은 작지만, 사태가 장기화 될 경우 타격이 예상됩니다. <br> <br>[정민현 /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] <br>"반도체의 대러 수출 규모가 크지 않다고 하더라도 시장 교란에 따른 가격 변동이 발생한다는 측면에서 예의 주시할 필요가 있습니다." <br> <br>미국산 차량용 반도체가 들어간 자동차 수출이 막힐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. <br><br>한 전자업계 관계자는 "상황이 장기화될 경우 자금 유동성 문제가 생길 수 있어 결제 화폐를 교체하는 등 대안을 준비 중"이라고 말했습니다.<br> <br>금융당국은 수출입 피해 기업들을 위해 최대 2조 원 규모의 긴급 금융 지원프로그램을 가동하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조현선입니다.<br><br>영상취재 이락균 <br>영상편집 김문영<br /><br /><br />조현선 기자 chs0721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