러 침공 사흘째 키예프 절체절명…우크라 대통령 "조국 지킬것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우크라이나 수도 키예프 점령을 노리는 러시아군의 공세가 더욱 거세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곳곳에서 폭발음고 총성이 들리고 있다고 하는데요.<br /><br />국제 담당 기자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.<br /><br />한상용 기자, 현재 키예프 상황이 어떤가요.<br /><br />우크라이나 대통령은 키예프에 남아 항전 의지를 밝혔다면서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러시아의 침공 3일째인 26일 새벽 키예프 곳곳에서 총성과 포성이 끊이지 않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세계 주요 외신은 키예프 남부와 서부에서 폭발음과 함께 총성이 들리고 섬광도 목격됐다고 일제히 전했습니다.<br /><br />러시아군이 키예프의 발전시설 장악을 시도했다는 보도도 나왔고, 우크라이나군이 키예프에 있는 육군 기지 공격을 받았지만 이를 격퇴했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CNN은 키예프 남쪽 29㎞ 바실키프에서 격렬한 교전이 있었다고 우크라이나군을 인용 보도하기도 했는데요.<br /><br />앞서 키예프가 함락될 가능성이 상당하다는 미 백악관의 진단도 나왔습니다.<br /><br />우크라이나의 젤렌스키 대통령은 키예프에 계속 남아 결사 항전의 뜻을 전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조금 전에도 SNS에 영상을 올려 "우리는 무기를 내려놓지 않을 것"이라며 "조국을 지키겠다"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또 자신이 키예프를 버리고 도망갔다거나 러시아군에 항복했다는 소문은 "가짜 뉴스"라고 일축하기도 했는데요.<br /><br />이와 함께 프랑스의 마크롱 대통령과 통화를 했다면서 "우크라이나의 유럽연합 가입을 결정하는 중요한 순간"이 다가왔다는 글을 올리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우크라이나는 현재 27개 나라가 가입해 있는 유럽연합 EU의 회원국은 아닌 상태입니다.<br /><br />전날에는 화상 특별연설을 통해 자국민에게 "어디서든 적을 막아 달라"고 호소하기도 했는데요.<br /><br />우크라이나는 국가총동원령을 내려 민간인과 국가 기간시설을 전시체제로 전환해 러시아의 점령 시도에 강하게 저항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젤렌스키 대통령은 또 "러시아군인 수백명이 사살됐다"면서 "우리 역시 병력을 잃었다"고 말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정전 협상 얘기도 오가고 있다면서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.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양측 모두 협상 의지는 내비치고 있지만 실제 협상 개최에 대한 합의 소식은 아직 들어오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평화와 정전 협상을 할 준비가 돼 있다면서 우크라이나측이 회담을 거부했다는 일각의 주장을 반박했습니다.<br /><br />또한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협상 제안도 받아들인다며 현재 회담 시간과 장소를 논의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.<br /><br />앞서 러시아 대통령실인 크렘린궁은 협상을 위해 벨라루스 민스크에 고위 대표단을 보낼 의향이 있다고 밝힌 바 있는데요.<br /><br />크렘린궁은 우크라이나 측이 민스크에서 협상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했다가 뒤이어 회담장을 폴란드 바르샤바로 하자고 역제안한 뒤 연락을 끊었다고 주장했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은 러시아의 회담 제의를 두고 "총구를 겨눈 강압적 외교"라고 비판하면서 러시아가 폭격을 중단하고 군대를 철수함으로써 의지를 보여줘야 한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유엔 안보리 긴급회의가 소집됐는데, 러시아의 철군을 요구하는 결의안이 결국 무산됐다면서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 예상했던 대로 유엔 안보리에서 결의안 채택은 무산됐습니다.<br /><br />상임이사국인 러시아가 비토권, 즉 거부권을 행사했기 때문인데요.<br /><br />미국이 주도한 결의안은 러시아를 향한 규탄과 함께 우크라이나에서 즉각적인 철군을 요구하는 내용이 담겼습니다.<br /><br />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침공의 당사국이자 비토권을 지닌 상임이사국이기 때문에 결의안 채택 가능성은 애초부터 없었던 게 사실입니다.<br /><br />이런 상황에서 우크라이나는 유엔 인권이사회에 러시아 침공 이후 자국 내 인도주의적 상황에 대해서도 긴급회의를 요청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이마저도 러시아의 영향력으로 긴급회의가 열린다 해도 당장 어떤 결론을 도출해내기가 쉽지 않을 가능성도 제기됩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글로컬뉴스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.<br /><br />#키예프 #우크라이나 #러시아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