오미크론 확산세가 다음 달에 정점에 이를 거란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우리의 의료 대응이 이미 한계치에 다다랐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실제로 보건소는 물론 대부분 의료 현장은 밀려드는 환자에 이미 대응 역량을 넘어서다 보니 코로나에 취약한 영유아와 고령층의 피해가 현실화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최재민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정부는 지난주 하루 최대 확진자를 애초 27만 명보다 소폭 준 25만 명이라고 예측했습니다. <br /> <br />[김부겸 / 국무총리 : 3월 중순쯤에 정점을 찍고, 아마 그 숫자는 25만 명 내외가 되지 않겠나 추측을 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하지만 하루 최대 PCR 검사 역량이 한계치인 85만 건인 상황에서 확진자 수를 예측하는 건 무의미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입니다. <br /> <br />PCR 검사 양성률 30%를 가정했을 때 25만 명 안팎이 나오는 것으로 앞으로 확진자는 양성률에 의해서만 좌우된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[신상엽 / 감염내과 전문의 : 앞으로 제가 보기에는 두 번의 더블링이 더 있을 수 있는 그런 정도의 유행이라고 생각하는데 아마 실제로 집계되는 확진자 수는 20만 명을 넘기지 못하는 그런 상황이 벌어져서 확진자 수 가지고는 유행 예측을 하기가 어려운…] <br /> <br />지난달 말부터 도입된 정확성이 떨어지는 신속항원검사로 하루 수만 명의 환자를 놓치고 있다는 게 의료계의 대체적인 판단입니다. <br /> <br />이럴 경우 가장 피해를 보는 건 백신을 맞지 못하는 영유아와 같은 취약계층인데, 병상을 잡지 못해 숨지는 등 곳곳에서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경남 김해에서는 32개월 남자아이가 확진 판정을 받고 40도에 달하는 고열이 났지만, 음압병실이 없다는 이유로 해열제만 맞고 다시 집으로 돌아가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[노요원 / 경남 김해시 장유동 : 코로나 확진자가 심폐소생술하고 지나간 지 얼마 안 돼서 환기를 시켜야 해서 환자를 못 받는다 이러더라고요.] <br /> <br />최근에는 60대 이상 고령층의 사망자도 눈에 띄게 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신상엽 / 감염내과 전문의 : 실질적으로 병원에 가보면 위·중증 환자를 입원시킬 수 있는 공간들이 거의 없는 상황이거든요.]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PCR 검사 역량을 늘려 감염자를 선제적으로 찾아내고 가파른 감염 속도를 우리의 의료 역량에 맞게 늦춰 피해를 줄여야 한다고 조언합니다. <br /> <br />YTN 최재민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최재민 (jmchoi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0227222913406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