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우크라이나 사태에 경제 전방위 타격...산업계도 긴장 / YTN

2022-02-28 0 Dailymotion

■ 진행 : 강진원 앵커 <br />■ 출연 : 강희경 / 경제부 기자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국내 경제가 전방위적으로 타격을 받는 모습입니다. 금융시장이 크게 출렁이고 있고 산업계에도 비상이 걸렸습니다. 사태가 길어지면 물가와 성장률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되고 있습니다. 경제부 강희경 기자와 함께 더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. 안녕하세요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안녕하세요. <br /> <br /> <br />먼저 금융시장 상황부터 짚어봐야 될 것 같은데 오늘 주식시장 어떻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코스피가 지난주 금요일보다 0.5 넘게 떨어진 2660대에서 시작을 했습니다. 그런데 제가 들어오기 전까지 확인을 해 보니까 2670대 정도로 다시 올랐더라고요. 이 수치는 금요일보다는 오른 수치입니다. 즉 하루에도 변동폭이 굉장히 크게 나타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겁니다. <br /> <br />이처럼 최근 세계적인 물가 상승에 따른 긴축 우려에 우크라이나 사태까지 더하지면서 세계 주식시장이 크게 출렁이는 모습입니다. 최근 코스피 추이를 보면 2%대 급락과 반등을 굉장히 여러 차례 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. 올해 들어 두 달 사이에 코스피와 코스닥지수가 10% 넘게 하락하면서 시가총액 기준으로만 162조 원 넘게 증발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지금 강희경 기자 말고 저는 컴퓨터가 있어서 현재 코스피지수를 보니까 2667선에서 지금 왔다갔다 하는 것 같아요. 지금 말씀하신 것처럼 변동성이 큰 것 같은데 결국 불확실성이 가장 문제이지 않겠습니까? 앞으로는 어떨 것 같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앞으로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군사적 긴장이 계속되면서 변동성이 크게 한 번은 나타날 거라는 전망이 우세합니다. 전문가들 의견을 들어보면 미국 S&P500지수를 예로 들면 1980년 이후에 지정학적 위험에 따른 하락률의 평균이 -3.8% 정도 나타나는데요. <br /> <br />이건 미국 기준이고 우리나라는 신흥국 주식시장은 이거보다 더 위험에 취약할 수 있기 때문에 변동성이 더 클 거라는 전망이 나오고 또 지금 조정이 과도하고 불안심리가 이미 주가에 반영돼 있다 보니까 반등 가능성이 있거나 변수가 나타나더라도 지금보다는 조금 더 둔화한 반응을 나타낼 거다, 이런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이렇게 ... (중략)<br /><br />YTN 강희경 (kanghk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20228125350364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