오미크론 변이 확산에 급증한 영유아 확진자가 재택치료 중 숨지는 일이 잇따랐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비대면 진료의 한계를 인정하고, 동네 병·의원에서도 소아 확진자에 대한 '외래 진료'를 확대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형원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코로나19 확진자도 진료하는 동네 소아과입니다. <br /> <br />오전에는 일반 환자, 오후에는 코로나19 확진자를 받아 동선이 겹치지 않도록 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오미크론 확산으로 소아 확진자가 늘면서 하루 처방만 200건, 전날 비대면 전화 상담은 무려 1,500건이나 이뤄졌습니다. <br /> <br />[송종근 / 연세 곰돌이 소아청소년과의원 원장 : 밤에 와서 주사 맞고 지금 좀 괜찮아요?] <br /> <br />[소아 확진자 보호자 : 점심부터 약을 먹일 수 있을 것 같아요.] <br /> <br />대부분 경증이지만, 3살 이하 어린이는 후두염도 치명적일 수 있다며, 목소리나 숨소리 변화를 잘 관찰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. <br /> <br />[송종근 / 연세 곰돌이 소아청소년과의원 원장 : (후두염은) 밤에 심해지면 호흡곤란이 나타나는데, 산소 투여를 해도 소용이 없는 게 후두가 굉장히 좁아져서 공기가 들어가질 않습니다. 숨찼던 경험이 있으면 낮에 꼭 약을 빨리 타셔서 미리 대처하시고….] <br /> <br />최근 이 같은 소아 환자를 포함한 18살 이하 확진자는 12배 가까이 늘어 50만 명이 넘습니다. <br /> <br />의사 표현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3살 이하 환자만 6만 명에 달합니다. <br /> <br />모두 재택치료 '일반관리군'으로 보호자가 건강 상태를 살펴야 합니다. <br /> <br />이런 탓에 응급 대처가 늦어져 생후 4개월 아기와 7살 아이 등 영유아가 숨지는 일이 잇따르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가 뒤늦게 비대면 진료 한계를 인정하고 동네 병·의원의 소아 확진자 외래 진료를 늘리기로 한 이유입니다. <br /> <br />[박 향 /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 : 대부분의 소아과 의사들이 외래진료가 진행되어야만 야간에 응급실을 찾는 비율도 현저하게 떨어질 것이고 부모들도 안정감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는 그런 부분에 동의했고요.] <br /> <br />유행 규모가 커지는 상황에서 코로나19 환자만 따로 보는 의료 체계로는 버틸 수 없다고 강조한 만큼, 소아과를 시작으로 일반 동네 병원의 확진자 외래 진료도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YTN 이형원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형원 (lhw90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0228200336227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