약 한 달 만에 무력시위를 재개한 북한이 어제 발사는 미사일이 아닌 정찰위성 개발을 위한 시험이었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정찰위성 발사 기술이 대륙간탄도미사일, ICBM과 거의 같은 만큼, ICBM 도발에 대한 의지를 우회적으로 드러낸 것이라는 분석입니다. <br /> <br />한연희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베이징올림픽 기간의 침묵을 뚫고 28일 만에 무력시위를 재개한 북한. <br /> <br />하지만 북한은 이번에 쏜 건 미사일이 아닌 정찰위성에 장착할 촬영기 시험을 위한 발사체라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발사체에 정찰위성에 탑재할 정찰카메라를 달아 해상도와 자료 전송 체계 등을 확인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또 이런 내용과 함께 우주에서 한반도를 찍은 사진도 공개했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은 이번 시험이 정찰위성 개발을 위한 계획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한 만큼 조만간 실제 정찰위성 발사에도 나설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정찰위성 발사는 핵실험과 대륙간탄도미사일, ICBM 발사 유예, 즉 모라토리엄 철회 수순을 밟겠다는 의미로도 해석됩니다. <br /> <br />정찰위성은 장거리 로켓에 탑재돼 우주로 발사되는데, 이 장거리 로켓을 쏘아 올리는 기술이 재진입 기술이 필요 없다는 점만 빼면 ICBM 기술과 거의 같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박원곤 /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 : 결국, 정찰 위성이라는 것을 쏘기 위해서는 대륙간탄도미사일에 준하는 그런 장거리 로켓 발사가 있어야 되는 거잖아요. 그거를 하겠다라는 일종의 예고편으로 읽을 수도 있겠죠.] <br /> <br />발사를 앞두고 관련한 시험이 더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우리 군은 긴급 주요 지휘관회의를 열고 군사대비태세를 점검했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의 무력시위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안보불안을 의식한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[서 욱 / 국방부 장관 : 우크라이나 사태와 연속되는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관련하여, 강한 국방으로 평화를 지킨다는 것을 반드시 유념해야 합니다.] <br /> <br />이번 회의에서는 이례적으로 우리 군이 최근 시험 발사한 장거리 요격미사일 L-SAM(엘샘) 등 억제·대응 전력 등이 담긴 '특별 동영상'도 상영됐는데, 국방부는 심화하는 위협에 대비해 다양한 미사일을 개발하고, 방어범위를 확대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한연희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한연희 (hyhee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20228231952707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