동거인 수동감시에 방역패스 중단…경고하는 의료계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오미크론 방역체계가 전환되면서, 오늘(1일)부터 확진자 동거인의 격리 지침은 사라지고, 방역패스도 중단됩니다.<br /><br />확진자, 특히 고위험군 관리에 집중하겠다는 취지인데, 방역 전문가들은 방역 완화 신호는 섣부르다고 경고했습니다.<br /><br />김민혜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오미크론 유행 양상에 따른 방역체계 전환이 빠르게 진행 중입니다.<br /><br />오늘부터는 확진자의 동거인은 미접종자라도 격리 대상이 아니고, PCR 검사도 자율에 맡깁니다.<br /><br />식당, 카페 등에 적용됐던 방역패스도 중단됩니다.<br /><br />방역당국은 오미크론의 낮은 중증화율과 높은 전파력을 고려한 조치라고 말합니다.<br /><br /> "델타 때보다 더 강하게 (조치를) 해야지만 효과성이 나오는 반면에, 치명률은 더 떨어져있는 상태라서 그러한 더 강한 조치들이 효율적일 것인가…"<br /><br />하지만 유행 정점은 오지 않고 확진자는 급격히 늘고 있는데다 위중증·사망도 덩달아 급증하는데, 방역 완화 메시지가 고위험군 관리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의료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.<br /><br />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50%에 근접했고, 중증화 우려가 높은 환자가 있는 준-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70%에 육박합니다.<br /><br /> "정점 도달까지 우리 의료체계가 버틸 가능성에 대한 평가는 반드시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고요, (그렇지 않고) 정책적인 완화가 이뤄진다면 위험부담을 감수하는 결정이라고."<br /><br />재택치료 관리가 차질을 빚자, 필요시 소아처럼 대면진료를 허용하는 등 추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옵니다.<br /><br /> "고위험군 확진자들에 대해 최대한 치료할 기회를 속히 부여하는 거, 그것만이 정부가 할 수 있는 가장 최선의 방법이라고 저는 봐요. 풍토병이라고 하고 싶으면 풍토병 답게…"<br /><br />이런 가운데 정부는 향후 거리두기 역시 추가 완화 가능한 부분이 있는지 검토해 결정할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민혜입니다. (makereal@yna.co.kr)<br /><br />#수동감시 #방역패스 #코로나19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