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진행 : 이광연 앵커, 정지웅 앵커 <br />■ 출연 : 고명현 아산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한국을 포함해서 세계 곳곳에서 우크라이나의 평화를 기원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지 엿새째, 여전히 수도 키예프를 포함해 곳곳에서 격렬한 교전이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미국을 비롯한 서방국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직접 제재를 가하는 등 압박 수위를 높이면서 러시아의 핵무기 위협을 가하는 등 양측의 대치가 가팔라지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우크라이나 사태 상황과 국제 정세, 그리고 북한 동향까지 전문가와 함께 분석해 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고명현 아산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나와 계십니다. 어서 오세요. <br /> <br /> <br />침공 엿새째고 러시아가 민간 지역까지 포격을 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UN이 파악한 민간인 사상자 숫자가 406명이고 또 합의와 관련해서는 협상의 결과는 없는 것으로 지금 상황이거든요. <br /> <br />하나씩 위원님과 따져보도록 하겠습니다. 어떻습니까? <br /> <br />우크라이나가 예상보다 민간인을 포함해서 저항이 거세다, 이런 분석이 나오고 있거든요. <br /> <br />지금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? <br /> <br />[고명현] <br />사실 어떻게 보면 러시아가 예상 외로 고전을 하는 부분이 있고요. <br /> <br />어떻게 보면 러시아가 침공 계획을 지나치게 낙관적으로 세우지 않았나 그런 생각이 듭니다. <br /> <br />개전 초기에 특수부대랑 그리고 정밀타격 무기 중심으로 제한적인 전쟁을 벌이려고 했고요. <br /> <br />사실 동원된 전력의 한 3분의 1 수준만 초기에 진입이 됐고, 투입이 됐고 그다음에 아마 개전 4일째에 전면전 자체를 종결시키려고 하지 않았나 생각이 듭니다. <br /> <br />그래서 같이 가져갔던 보급도 사실 부족했던 것 같고요. <br /> <br />그래서 예상 외로 우크라이나군이 선전을 하다 보니까 지금 어떻게 보면 푸틴 러시아군의 침공 계획이 많이 흐트러져서 많은 전략의 수정 단계에 있는 것 같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러시아 입장에서? <br /> <br />[고명현] <br />네, 러시아 입장에서요. <br /> <br />그래서 지금까지는 어떻게 보면 제한적인 전면전을 하려고 했는데 생각보다 일이 잘 안 풀리고 특히 우크라이나군에서 상당히 잘 사이버 공략 같은 걸 막아내서 놀라웠던 게 젤렌스키 대통령이 사실 개전 초기에 숨어 있... (중략)<br /><br />YTN 고명현 (englekim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20301181259335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