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국제 스포츠계에서도 러시아는 공공의 적 신세가 됐습니다. <br> <br>IOC는 러시아 선수들이 국제대회에 나오지 못 하도록 독려하고 나섰고 축구 월드컵에서는 아예 퇴출됐습니다. <br> <br>김태욱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우크라이나 출신 선수가 교체로 들어가자 관중들이 모두 일어나 환호합니다. <br> <br>홈팬들의 격려에 눈시울이 붉어집니다.<br> <br>전세계 스포츠계가 반러시아로 똘똘 뭉쳤습니다. <br> <br>국제축구연맹은 세계인의 축구잔치 월드컵에서 러시아를 퇴출했습니다. <br> <br>정치적인 이유로 이 같은 징계가 나온 건 1994년 미국 월드컵 당시 유고슬라비아 이후 28년 만입니다. <br> <br>러시아는 유럽 예선 플레이오프에 올라 있었지만 이번 징계로 카타르 월드컵 도전은 물거품이 됐습니다. <br> <br>유럽축구연맹은 1600억 원이 넘는 러시아 기업의 후원을 포기하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에너지 기업 가즈프롬과의 계약이 2024년까지 남아 있지만 계약을 중단한 겁니다. <br> <br>IOC도 적극 나섰습니다. <br> <br>각 종목 국제단체와 국제대회 조직위원회에 러시아와 벨라루스 선수, 관계자들의 대회 참가를 금지하라는 권고안을 내려보냈습니다. <br> <br>다만 사흘 뒤 개막하는 베이징 패럴림픽은 예외가 될 전망입니다. <br> <br>이런 가운데 러시아 선수와 대결하게 된 우크라이나 선수들이 속속 기권하고 나섰습니다. <br> <br>여자 테니스 세계랭킹 15위 엘리나 스비톨리나도 이 대열에 동참하며 자국 군대에 힘을 보탰습니다. <br> <br>[엘리나 스비톨리나 / 우크라이나 테니스 선수] <br>"앞으로 대회 출전으로 얻은 상금은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 군대에 기부할 겁니다." <br> <br>국제 스포츠계의 제재 분위기가 러시아 국민들에게 미치는 심리적 영향이 경제 제재 못지않다는 주장도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태욱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 : 천종석<br /><br /><br />김태욱 기자 wook2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