우크라이나에서 태어난 지 한 달 된 한국 국적 쌍둥이 아기가 여권을 발급받지 못해 수 킬로미터를 걸어서 간신히 국경을 넘었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 대사관에 여권 발급을 요청하고 국경을 넘도록 지원해달라고 호소했지만, 대사관 측은 도움은커녕 교민 명단에서조차 빠뜨린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준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사람들이 철문에 새까맣게 모여 웅성거리고. <br /> <br />주변에선 총소리와 비명도 들립니다. <br /> <br />현지시각으로 지난 27일 새벽, 우크라이나와 루마니아 사이 검문소. <br /> <br />임 모 씨의 부인이 한 달 전 태어난 쌍둥이 딸과 아들을 데리고 가까스로 국경을 넘은 곳입니다. <br /> <br />우크라이나 국적인 임 씨 부인과 달리 쌍둥이 자녀는 한국 국적을 갖고 있었지만, 여권이 없었습니다. <br /> <br />러시아군의 진격 소문을 듣고 검문소로 향한 임 씨 부인이 무작정 호소한 끝에 운 좋게 국경을 통과할 수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[임 모 씨 / 한국 거주 : 국경 근처부터 한 6∼7㎞ 걸었다고 하더라고요. 유모차를 끌고, 장모님이랑. 거기서부터는 연락을 못 했어요.] <br /> <br />임 씨 가족이 무작정 국경으로 향하는 '도박'을 한 건 대사관으로부터 여권도, 도움도 받지 못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여권은 현지 대사관에 대면으로 신청해야 받을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임 씨 가족은 우크라이나에 전운이 감돌자 2주 전부터 출국할 방법을 찾으려 했지만, 온 가족이 코로나19에 확진돼 버렸습니다. <br /> <br />거주지인 체르니우치에서 대사관이 있는 키예프까지는 열차로 12시간이나 걸리는 먼 거리. <br /> <br />아픈 몸을 이끌고 가기도 어려운데 결국, 전쟁까지 터졌습니다. <br /> <br />[임 모 씨 / 한국 거주 : 아기들도 있고 아내도 있고. 가족이 거기 있고 저는 한국에 딱 떨어져 있는데, 손 쓸 수도 없다는 게. 너무 마음이 아프니까 대사관에도 물어보고 했는데 결과가 없고 결론이 안 나더라고요.] <br /> <br />한국에 혼자 거주하던 임 씨는 전화에 휩싸인 키예프를 방문하지 않고 자녀들이 국경을 넘을 방법을 찾아달라고 호소했지만, 대사관에선 불가능하다는 답변만 돌아왔습니다. <br /> <br />키예프 방문이 어려우면 '안전한 곳에서 우크라이나 여권을 발급받을 방법을 찾아보라'는 얘기도 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YTN 취재 결과 두 아이는 한국에서 출생신고를 마친 엄연한 한국인인데도 외교부의 교민 집계에서조차 빠져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에선 외교부에, 현지에선 대사관에 수차... (중략)<br /><br />YTN 이준엽 (leejy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0302035432537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