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7억 집 사는데 64억 소명 못해…수상한 집 거래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난 몇 년간 집값은 뛰고 정부가 돈줄을 죄는데도 고가 주택 거래는 활발했죠.<br /><br />뒤져보니 3,000건 이상은 각종 불법, 편법이 의심되는 거래였습니다.<br /><br />이른바 '아빠 찬스'로 불리는 편법 증여가 여전했는데, 개인 돈도 아닌 회삿돈을 넘겨준 일도 있었습니다.<br /><br />최지숙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재작년 3월부터 작년 6월까지, 9억 원 이상 고가주택 실거래 중 상시 모니터링에 걸린 이상 거래는 7,780건.<br /><br />국토교통부 조사 결과 그 절반인 3,787건에서 위법성이 발견됐는데 이 중 59%가 넘는 2,248건이 편법 증여였습니다.<br /><br />규모가 가장 큰 사례는 서울 용산구에서 나왔습니다.<br /><br />77억원대 아파트를 사들인 30대 A씨가 12억 5,000만원 외, 나머지 64억원이 넘는 돈의 조달 계획을 소명하지 못한 겁니다.<br /><br />불법 증여가 의심되는 대목입니다.<br /><br />20대 B씨는 서울에 있는 11억원대 아파트를 무일푼으로 매입했는데, B씨의 부친이 지인의 채무를 인수하는 조건으로 소유권 이전 합의를 받아낸 이른바 '아빠 찬스' 사례였습니다.<br /><br />그밖에 법인 자금을 유용한 아파트 매수자금 조달, 미성년 자녀에 대한 편법 증여 등 고질적인 문제들도 또다시 드러났습니다.<br /><br /> "5세 어린이가 조부모로부터 5억 원을 증여받은 것으로 의심되고 17세 청소년은 부모로부터 14억 원을 편법 증여받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"<br /><br />지역별로는 서울 강남과 서초, 성동 그리고 경기 분당, 서울 송파 순으로 위법 의심 거래가 많았습니다.<br /><br />적발된 거래들은 국세청과 경찰청, 지방자치단체 등에 통보돼 범죄 여부 수사나 과태료 처분 같은 후속 조치가 이뤄질 예정입니다.<br /><br />정부는 상시조사 외에, 법인의 다주택 매수나 가족 간 직거래 등 특이 동향에 대한 기획 조사도 벌일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최지숙입니다. (js173@yna.co.kr)<br /><br />#부동산 #고가주택 #위법 거래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