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쪽에선 '정찰위성' 개발하고…김정은은 나무 심고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북한은 올해 들어 미사일을 연속으로 발사한 데 이어 지난달 말에는 군사정찰위성 개발 시험도 했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국방력 강화에 집착하는 이런 모습과 대조적으로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나무 심기에 나섰는데요.<br /><br />무슨 생각일까요? 지성림 기자가 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덜란드의 철학자 스피노자는 말했습니다.<br /><br />"내일 지구의 종말이 온다고 해도 나는 오늘 한 그루의 사과나무를 심겠다."<br /><br />북한 매체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나무를 심으며 활짝 웃는 사진을 보도했습니다.<br /><br />3월 2일, 북한의 식목일을 맞아 노동당 초급당비서대회 참석자들과 함께 대규모 아파트 단지 건설이 시작된 평양시 화성지구에서 기념식수를 한 모습입니다.<br /><br />우크라이나에 대한 러시아의 무력 침공에 전 세계가 분노하는 데다, 사흘 전에는 북한이 위성용 카메라를 장착한 탄도미사일을 발사해 한반도 정세를 긴장시킨 상황과는 상반된 분위기를 연출했습니다.<br /><br />김 위원장이 식목일을 맞아 식수 행사에 나선 것은 5년 만으로, 긴박하게 돌아가는 국제 정세에 관심이 없어서라기보다는 나무를 심어야 할 내부적인 이유가 있어 보입니다.<br /><br /> "튼튼히 뿌리 박은 나무가 그 어떤 바람이 불어와도 넘어지지 않듯이 인민이라는 대지에 든든히 뿌리를 내리고 인민에게 의거하는 당은 필승불패라고 하시면서…"<br /><br />똘똘 뭉쳐 러시아의 무력 침공에 맞서는 우크라이나 국민들을 보면서 노동당을 중심으로 한 '인민의 결속'을 강조한 것이라는 관측도 나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북한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규탄하고 즉각 철군을 요구하는 유엔총회 결의안에 반대표를 던졌습니다.<br /><br />"국가의 자주권을 지키기 위해 국방력을 강화한다"고 입버릇처럼 강조해온 것과는 거리가 멀게 침략자인 러시아의 편을 든 겁니다.<br /><br />현재로선 북한의 대외정책은 미국과의 협상보다는 러시아나 중국과의 우호 관계 강화에 더 초점이 맞춰져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지성림입니다. (yoonik@yna.co.kr)<br /><br />#김정은 #식목일 #식수 #우크라이나 #러시아 #정찰위성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