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 근처에서 러시아군은 며칠 째 64km 길게 늘어선 채 진군을 못하고 있는데요. <br> <br>우크라이나군의 강한 저항도 이유지만, 자연 현상이 가로막았다는 분석입니다. <br> <br>나폴레옹과 히틀러도 두 손 들었다는 라스푸티차의 위력, 염정원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에서 27km 떨어진 곳입니다. <br> <br> 러시아 군 행렬이 60km가 넘습니다. <br> <br> 그런데 사흘째 제자리입니다. <br> <br> 진흙에 빠진 탱크는 오도가도 못하는 신세가 됐고 진군하려고 애써보지만 연신 검은 연기만 내뿜습니다. <br> <br> 늪지대 같은 진흙에서 빠져나올 기미가 보이지 않자 결국 탱크만 남겨둔 채 도망갑니다. <br> <br> 세계 2위 군사 대국의 침략의 발목을 잡은 건, 우크라이나 지역에서 땅이 진흙으로 변하는 '라스푸티차' 현상 입니다. <br><br> 겨울에 내리는 비나 눈을 머금은 채 얼어붙었던 토양이, 3월 말 쯤 녹으면서 진흙으로 변하는 현상으로, 늪지대나 다름 없어 평소 우크라이나에서도 불편을 겪고 있습니다. <br> <br> 19세기와 20세기 러시아로 진군하던 나폴레옹과 히틀러의 러시아 원정 실패도 '라스푸티차'가 영향을 미쳤습니다. <br> <br>[나탈리아 / 우크라이나 피란민] <br>"라스푸티차는 3월 딱 이즈음에 발생하는 자연 현상입니다. 러시아 탱크들에게 장거리 기동은 정말 불가능에 가까운 일이라고 봐야죠." <br> <br> 러시아군의 연료 부족, 식량 공급 문제와 함께 우크라이나 군의 강력한 저항에 땅에 떨어진 사기도 러시아군의 발목을 잡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염정원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: 장세례<br /><br /><br />염정원 기자 garden9335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