역대 대선에서도 후보 단일화는 통과 의례처럼 등장하곤 했던 변수였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이번 20대 대선을 앞두고는 사전투표가 시작되기 직전 단일화가 이뤄지면서, 결과에 어떤 영향을 줄지 예상이 쉽지 않은데요. <br /> <br />역대 대선의 단일화와 같은 점, 그리고 다른 점을 짚어봤습니다. <br /> <br />이정미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 <br />[안철수 / 당시 국민의당 대선 후보 (지난 3일) : 저 안철수는 윤석열 후보를 지지하기로 했습니다.] <br /> <br />10년 전에도, <br /> <br />[안철수 / 당시 무소속 대선 후보 사퇴 (2012년 12월) : 오늘이 대선의 중요한 분수령이 될 것입니다.] <br /> <br />20년 전에도 <br /> <br />[정몽준 / 당시 국민통합21 대표 (2002년 12월) : 노무현 후보를 도와주시길 부탁드립니다.] <br /> <br />대선을 앞둔 후보 단일화가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물론 상황이 같았던 건 아닙니다. <br /> <br />노무현, 정몽준 후보의 단일화와 문재인, 안철수 후보의 단일화는 선거를 한 달 정도 앞두고 이뤄졌습니다. <br /> <br />윤석열, 안철수 후보의 단일화는 불과 선거를 6일 앞두고 이뤄졌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입니다. <br /> <br />단일화 당시 후보들의 순위도 차이가 납니다. <br /> <br />2002년 당시 노무현 후보는 월드컵 분위기를 등에 업은 정몽준 후보가 2위로 올라선 시점 단일화 협의를 시작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불리했던 여론조사를 수용하자 오히려 지지율이 올랐고 단일 후보가 되어 최종적으로, 1위인 이회창 후보까지 밀어내고 당선됐습니다. <br /> <br />2012년도 2, 3위 후보의 단일화였습니다. <br /> <br />당시 문재인 후보는 2위를 달리던 안철수 후보를 앞설 무렵 단일화를 이뤘습니다. <br /> <br />이후 지지율은 급상승했지만, 최종 1위를 넘진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과거 단일화에 나선 후보들의 지지율이 20%대로 비슷했다면, <br /> <br />윤석열 후보는 이재명 후보와 오차범위 안이긴 하지만 1위를 유지하면서도 지지율이 10% 안팎인 3위 안철수 후보와 단일화했다는 점이 과거와 다릅니다. <br /> <br />2002년 3위였던 노무현 후보가 1위까지 올라선 배경으로는 정몽준 후보의 막판 지지 철회가 꼽힙니다. <br /> <br />오히려 중도층의 반발을 사면서 노 후보의 당선을 도왔다는 분석입니다. <br /> <br />2012년 안철수 후보는 문재인 후보를 돕긴 했지만, 이른바 '아름다운 단일화'는 이루지 못했고 선거 당일 미국으로 출국하면서 표가 온전히 흡수되지 않았다는 평가가 나옵니다. <br /> <br />이번에도 단일화 이후 윤 후보를 지지하고 지원 유세에 나선 안철수 대표. <br />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이정미 (smiling37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20305050713631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