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한편 수도 함락에 실패한 러시아군은 남부지역 도시들에 포격을 쏟아부으면서 거세게 공격해 왔지요.<br> <br> 오늘에야 러시아 군이 이 도시들에 피란 통로를 마련해주겠다고 선언했는데 이미 민간인이 수백명이나 목숨을 잃은 뒵니다. <br> <br>박수유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 <br>지난 28일부터 하루도 빠짐 없이 포격이 쏟아진 흑해 연안 마리우폴. <br> <br>50만 명 가까이 거주하는 도시에 인적은 사라졌고 도로에는 건물 파편들이 널려있습니다. <br> <br>전기와 온수, 난방까지 끊겨 도시 기능을 상실했습니다. <br> <br>구급대원들은 안전모를 쓰고 출동하고 병원에는 부상자들이 쉴새 없이 몰려듭니다. <br> <br>[카테리나 수호루코바 / 마리우폴 시민] <br>“아이가 태어날 수 있도록 도와주신 의사선생님께 감사해요. 이제 다 괜찮을 거라고 믿어요.” <br> <br> 속전속결로 수도 키이우를 함락하려던 작전에 실패한 러시아군은 남부 흑해 도시를 향해 총공세를 펴고 있습니다. <br><br> 러시아군 영향권에 있는 크름반도와 돈바스 지역에 이어 마리우폴을 장악해 흑해를 봉쇄하려는 의도입니다. <br><br>[미카일로 포돌랴크 / 우크라이나 대통령 비서실장] <br>“그들은 폭탄을 투여하며 마을을 포위하고 있습니다. 협상 없이 무차별적으로 공격하는 이들 때문에 식량원조는 아예 불가능합니다.” <br> <br> 2차 협상 당시 민간인을 위한 인도적 통로 제공에 합의한 러시아는 뒤늦게 일부 지역에서 한시적 휴전을 발표했습니다. <br> <br>[이코르 코나셴코 / 러시아 국방부 대변인] <br>“러시아 시간 3월 5일 오전 10시부터, 러시아는 휴전을 선언하고 민간인들이 마리우폴과 볼노바카를 떠날 수 있도록 인도적 통로를 열 것을 선언합니다.” <br> <br> 임시 휴전 선언 전 이미 민간인은 330명 넘게 숨진 것으로 유엔 인권사무소는 집계했습니다. <br> <br>이번 주말 양국은 세번째 협상 일정을 조율 중입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박수유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 유하영<br /><br /><br />박수유 기자 aporia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