북한이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, 전통적 우방인 러시아를 노골적으로 편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이 과정에서 북한이 자신들의 무기개발 정당화하기 위해 쌓아온 논리에 반하는 자기모순에 빠졌다는 지적입니다. <br /> <br />한연희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우크라이나 전쟁을 미국 탓으로 돌린 북한. <br /> <br />[김성 / 유엔 주재 북한 대사 (지난 1일, 엔 총회) : 우크라이나 사태의 근본 원인은 전적으로 미국과 서방의 패권주의적 정책에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유엔의 러시아 규탄 결의안 채택에 반대표를 던진 5개 나라 가운데 하나로 이름을 올렸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은 기권할 정도로 신중한 행보를 보인 상황에서 북한이 공식적으로 러시아 편들기에 나선 겁니다. <br /> <br />[박원곤 /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 : 북한이 앞으로 또 자신들의 압박과 압력을 강화해 나갈 가능성이 매우 큰데 그럴 경우에 또 UN에서 문제 제기가 될 수 있고 역시 중국과 러시아가 그런 상황에서 북한 편을 드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….] <br /> <br />문제는 이 과정에서 북한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명분과 논리 구조에 모순이 생겼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북한은 지금까지 강대국이 자신의 힘과 군사력을 활용해 다른 국가를 침해하거나 내정에 간섭하는 제국주의적인 행태를 비난해왔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, 미국을 '제국주의' 국가로 지목하고 비난하며, 이를 막기 위해 믿을 것은 자위력밖에 없고, 국가 주권을 지키기 위해서는 무기 개발을 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해왔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우방인 러시아가 그동안 비난해 온 '제국주의' 행동을 하며, 실제 다른 나라의 주권을 침해했는데도 적극 옹호에 나선 겁니다. <br /> <br />이에 대해, 미 전직 고위 관리들은 '위선'이자 북한판 '이중기준'이라고 비판하며 북한에게는 국제사회에서 비치는 이미지보다, 러시아의 지지를 얻는 게 제일 중요하다고 지적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은 아직 러시아의 침공에 대해 내부에는 알리지 않고 있는데, 주민들을 납득시킬 논리가 빈약하기 때문이란 분석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또 이렇게 러시아 편들기에 나선 건 미국 중심의 국제질서가 무너지는 것이 핵보유국으로 인정받을 길이라는 계산도 깔려 있다는 평가입니다. <br /> <br />YTN 한연희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한연희 (hyhee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20306224926918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