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국제유가는 급등하고, 금융시장도 요동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원-달러 환율은 1년 9개월 만에 1,220원 선마저 넘어섰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시장 상황 짚어보겠습니다. 조태현 기자! <br /> <br />오늘 금융시장이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오늘 국내 주식시장은 개장과 동시에 1%대 내림세로 출발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후로도 낙폭을 계속 키우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현재 코스피는 2.48% 하락한 2646.52로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 코스닥도 2.36% 정도 하락해서 880 아래까지 하락했는데요. <br /> <br />코스피 시장에서는 기관과 외국인이 6000억 원 넘게 순매도를 하고 있는데 개인이 1조 원 넘게 순매수하면서 이 물량을 받아내는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이러면서 주식시장이 계속 안 좋은 상황인데요. <br /> <br />우크라이나 사태가 좀처럼 진정될 기미를 보이지 않는 가운데 러시아군이 유럽 최대 규모인 우크라이나 원전을 장악했고 주변국까지 위협하고 있다는 소식까지 전해지면서 투자심리가 완전히 얼어붙은 것으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미국 등 주요국이 긴축 움직임을 이어가고 있다는 점도 증시를 압박하고 있어서 한동안은 변동성이 큰 상황이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이처럼 안전자산을 선호하는 심리가 커지면서 원-달러 환율은 급등했습니다. <br /> <br />현재 외환시장에서 전일 종가보다 12.7원 오른 1226.3원으로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환율이 1220원대로 올라선 건 지난 2020년 6월 이후 1년 9개월 만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간밤에는 국제유가도 들썩였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우크라이나 사태가 이어지면서 국제유가도 빠르게 오르는 추세입니다. <br /> <br />브렌트유는 장중 한때 18% 폭등하면서 139.13달러에 거래됐고, 서부 텍사스산 원유는 130.5달러까지 상승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는 지난 2008년 7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. <br /> <br />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이 러시아 제재 방안의 하나로 유럽 동맹국과 러시아산 석유 수입 금지를 논의한다고 밝힌 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이란과의 핵 협상이 타결되면 이란 원유 수출이 다시 시작될 것이란 기대가 있었지만, 이 협상이 지연되고 있다는 점도 유가 상승을 부채질했습니다. <br /> <br />시장에선 국제유가가 과도하게 올랐다면서도, 우크라이나 사태의 진행에 따라선 추가로 오를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는 분위기입니다. <br /> <br />... (중략)<br /><br />YTN 조태현 (choth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20307105723972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