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우크라이나 사태 속보입니다. <br> <br>러시아군이 수도 키이우의 민간인 대피로를 열어주겠다고 통보했습니다. <br> <br>사실상 총공세 직전 최후 통첩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박수유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시가지 한복판에 떨어진 미사일 육중한 건물들이 산산조각나며 화염에 휩싸입니다. <br><br>[현장음] <br>"아이들이… 어린아이들이…"<br> <br>집중 포격에 주택가들도 폐허가 됐습니다. <br> <br>잿더미로 뒤덮인 키이우 북서쪽 소도시 이르핀. <br> <br>무차별적인 폭격에 사망자가 속출합니다.<br> <br>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12일 째. <br> <br>5분마다 가해 포격에 시내 건물의 80% 이상이 완파됐습니다. <br> <br>그야말로 초토화 직전 러시아군은 수도 키이우와 제2 도시 하르키우 등에서 민간인 임시 대피로를 열어주겠다고 일방 통보했습니다. <br> <br>우크라이나 측은 수도 키이우 진입을 앞둔 사실상의 최후 통첩으로 받아들였습니다. <br> <br>키이우 도심 진입로인 다리들을 잇달아 폭파하며 결사 항전을 예고했습니다. <br> <br>미국 등 서방에는 러시아의 포격을 막기 위해 영공 봉쇄와 함께 전투기 지원을 요청했습니다. <br> <br>[볼로디미르 젤렌스키 / 우크라이나 대통령] <br>"우크라이나의 하늘길을 닫아주세요! 국민들을 지켜주세요. 당신들은 그럴 능력이 있습니다." <br><br>미국은 우크라이나 조종사가 다룰 수 있는 미그-29기를 폴란드가 지원하고, 폴란드의 공백을 F-16 전투기로 대신 메워주는 방식을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><br>러시아는 주변국에서의 우크라이나 전투기 출격을 적대행위로 간주하겠다고 맞섰습니다. <br> <br>우크라이나의 제공권을 두고 미국과 러시아의 충돌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수유입니다.<br> <br>영상편집 최창규<br /><br /><br />박수유 기자 aporia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