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야속한 산불은 수백년 된 소나무가 가득한 금강송 군락지마저 뚫었습니다. <br> <br>불이 난 지 105시간이 지났는데도, 꺼질 줄을 모릅니다. <br> <br>현장 연결합니다. <br> <br>배유미 기자, <br> <br>질문1) <br>어떻게든 막아보려고 했던 방어선인데, 어쩌다가 그 곳까지 번진건가요? <br><br>[리포트]<br>네, 불길은 바람을 타고 번지면서 한때 금강송 군락지까지 뚫고 들어갔습니다. <br> <br>필사적인 진화작업으로 불길이 크게 번지지는 않았지만 백여 미터 가량 손실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<br> <br>지금 보시는 영상이 소광리 금강송 군락지인데요. <br> <br>골짜기 아래 나무들이 탄 모습이 보입니다. <br> <br>산림당국은 금강송 핵심 보호구역과는 다소 거리가 있어 이쪽에는 피해가 거의 없을 것이라 설명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불씨가 다시 되살아날 가능성에 대비해 인력을 배치한 상태고요. <br> <br>소방차 37대와 원전 등에 배치되던 특수 화학차량까지 급파됐습니다. <br> <br>소광리는 국내 최대 금강송 군락지인데요. <br> <br>금강송은 각종 문화재 복원에 쓰이는 고급 목재로 숭례문 복원에도 쓰였습니다.<br><br>질문2) <br>산불이 오늘 내일 중으로 꺼질 것 같지가 않다는 거죠?<br> <br>네, 산림당국은 불길이 거센 곳부터 골라 끄는 선택과 집중 전략을 쓰고 있습니다. <br> <br>오늘 진화작업엔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면서 진화율은 65%까지 올라갔습니다, <br> <br>하지만 울진과 삼척 경계에 있는 응봉산 지역이 관건입니다. <br><br>정상부근에 여전히 불길이 거세고, 산세도 험해 지상 진화인력을 투입하기도 힘든 상황입니다. <br> <br>이로인해 진화에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당국은 내다보고 있습니다. <br> <br>산림당국은 이번 주내로 큰 불길을 잡는 걸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경북 울진에서 전해드렸습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김건영 <br>영상편집 : 김문영<br /><br /><br />배유미 기자 yum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