마지막 한 표까지…공식 선거전 22일의 기록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뜨거웠던 22일간의 대선 공식선거운동 대장정이 끝나고 여야는 이제 국민의 결정을 기다리고 있는데요,<br /><br />마지막 한 표라도 더 얻기 위해 사력을 다해 총력전을 펼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, 국민의힘 윤석열, 정의당 심상정 후보.<br /><br />세 후보의 숨 가빴던 22일을 동행 취재한 장보경, 정주희, 나경렬 기자가 정리했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공식 선거운동의 첫발을 뗀 곳은 부산항.<br /><br />대한민국 수출 현장의 최전선에서 유능한 경제대통령의 면모를 부각시켰습니다.<br /><br />이어 노무현, 문재인 대통령의 정치적 고향인 부산에서 첫 유세를 한 뒤 대구, 대전을 거쳐 서울로 이어지는 '경부선 상행' 유세전을 펼쳤습니다.<br /><br />이념을 넘어선 통합과 실용을 강조하는 이 후보는 민주당의 파란색 점퍼가 아닌 양복을 주로 입었습니다.<br /><br /> "좋은 정책이라면 홍준표의 정책이라도 박정희의 정책이라도 다 갖다 쓰겠습니다. 이게 바로 실용정치 아니겠습니까, 여러분!"<br /><br />'내집마련'의 꿈을 존중해야 한다며 부동산정책은 현 정부와 차별화했고, 방역 정책에는 소신을 드러냈습니다.<br /><br />서울 곳곳을 누비며 재건축 재개발 규제를 합리적으로 풀고 세제 금융제도를 실수요자 중심으로 개편하겠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'텃밭' 호남에서는 '정치보복'을 공언한 후보는 안된다고 목소리를 높였고, '홈그라운드' 경기도에선 성과로 증명해온 자신을 뽑아 달라고 안방 표심에 호소했습니다.<br /><br /> "대한민국 4분의 1 경기도가 결정하면 대한민국이 결정된다 맞습니까! 경기도지사는 대권가도 무덤이 아니라 꽃길이 될 것입니다!"<br /><br />인수위 단계의 '100일 회복 프로그램'을 약속하며 소상공인들의 마음을 보듬으면서, 때론 박정희 전 대통령의 추진력을 닮았다고 자평하며 민생만을 최대 관심사로 내세웠습니다.<br /><br />실용주의적 면모는 김동연 전 부총리와 정치교체 선언 합의와 단일화로 빛을 봤습니다.<br /><br />이재명 후보는 묻지마 정권교체 말고 정치교체를 해야 한다며 통합정부 구성에 대한 의지를 거듭 피력했습니다.<br /><br />일찌감치 구성된 '원팀'이 전국에서 힘을 보탠 가운데, 청년과 여성을 향한 구애는 선거운동 후반부에 집중됐습니다.<br /><br />이 후보는 남녀를 갈라치는 나쁜 정치를 심판해달라고 촉구했습니다.<br /><br />이 후보는 공식 선거운동 마지막 날 또다시 수도권을 아우르며 중도 부동층 유권자의 마음을 두드렸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장보경입니다. (jangbo@yna.co.kr)<br /><br />국립서울현충원에서 "위대한 국민과 함께 자랑스러운 나라를 만들겠다"며 공식 선거운동에 임하는 각오를 밝힌 윤석열 후보.<br /><br />곧바로 서울에서 시작해 '영·호남'을 아우르는 강행군을 시작했습니다.<br /><br />첫날은 광화문 청계광장 출정식부터 대전과 대구, 부산까지 '경부선 하행선'을 따라, 둘째 날은 광주에서 시작해 '호남선'을 따라 전주와 청주, 원주까지.<br /><br />1박 2일 동안 '국민통합' 메시지를 발신했습니다.<br /><br /> "저는 공직에 있을 때 영·호남, 충청, 강원, 경기 보따리 싸서 인사 발령 나면 전국을 돌아다녔습니다. 제게는 지역주의라는 것 자체가 없습니다."<br /><br />'야권 단일화'는 가장 큰 숙제였습니다.<br /><br />20일, 안철수 후보가 긴급 기자회견을 통해 결렬을 통보하며 격랑에 휩싸였고, 단일화 불씨는 꺼질 듯 하면서도 꺼지지 않아 양측의 지리한 줄다리기가 이어졌습니다.<br /><br />긴장감이 최고조에 이른 건 27일, 윤석열 후보는 유세 일정까지 취소하고 개최한 기자회견에서 단일화 결렬을 알렸습니다.<br /><br />그렇게 단일화 문이 닫히는 듯했지만, 마지막 TV 토론을 마친 심야.<br /><br />강남 모처에서 비밀리에 만난 두 후보는 속전속결로 후보 단일화에 합의했습니다.<br /><br /> "안철수 후보의 뜻을 받아 반드시 승리하여 함께 성공적인 국민통합 정부를 반드시 만들고, 성공시키겠습니다."<br /><br />사전투표를 바로 앞에 두고 안철수 후보와 단일화에 성공하면서 유세현장 분위기도 최고조에 이르렀습니다.<br /><br />기세를 올린 윤 후보는 남은 6일 전국 구석구석을 누비는 '마라톤 유세'로 지지층 결집에 주력했고, '승부처'인 수도권에서는 이준석, 안철수 대표와 손을 잡고 중도층 표심을 공략했습니다.<br /><br />마지막 날, 제주에서 시작해 대도시들을 순회한 윤 후보는 서울에서 "정권교체"를 외치며 대장정의 마지막을 장식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정주희입니다. (gee@yna.co.kr)<br /><br />진보 정치의 가치를 지키지 못했다며 선거 운동 한 달 전 숙고의 시간을 가졌던 정의당 심상정 후보.<br /><br />머리를 짧게 자르고 신발끈을 다시 조였습니다.<br /><br />돌아온 심 후보, 사회적 약자를 제대로 대변하겠다며 공식 선거 운동 시작부터 정치 체제를 바꾸자고 제안했습니다.<br /><br />35년간 유지된 양당 정치는 약자를 배제하고, 심각한 양극화만 낳았다고 비판했습니다.<br /><br /> "저 심상정 양당 정치의 거대한 장벽 앞에 홀로 섰지만 대한민국의 역주행을 단호히 막아서겠습니다. 기필코 양당체제를 넘어서서 정치교체 이뤄내겠습니다. 여러분!"<br /><br />전국 곳곳에서 노동자를 만난 심 후보는 이번 대선을 '노동 없는 대선'이라고 평가했습니다.<br /><br />여당 후보는 제대로 된 노동정책 하나 내지 않고 있고, 제1야당 후보는 120시간 노동을 외치며 노동 혐오로 나서고 있다고 양당 모두를 비판했습니다.<br /><br /> "노동자의 삶도 선진국인 나라, 노동이 당당한 나라 만드는 데 혼신의 힘을 다하겠습니다."<br /><br />야권 단일화와 관련해선 안철수 대표가 거대 정당에 무릎을 꿇었다면서도 안 대표를 비난할 생각이 없다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소수당이 소신을 지키는 일이 그만큼 어렵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는데, 그럼에도 자신은 자신의 길을 가겠다고 했습니다.<br /><br /> "저는 이 제3의 길을 꿋꿋이 가겠습니다. 여러분!"<br /><br />심상정 후보는 막판 서울 유세에선 청년과 여성 표심 공략에 집중했습니다.<br /><br />양당 정치 속 가려진 목소리를 제대로 대변하겠다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'소외된 목소리들'을 대통령 선거 전면에 내세웠던 심.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