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그런데 윤석열 당선인이 대통령에 취임도 하기 전에 안보 시험대에 오르게 됐습니다.<br><br>북한의 ICBM 도발이 초읽기에 들어갔다는 분석이 나오는데, 어떤 움직임 때문인지 권갑구 기자가 설명합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 대선을 앞두고 정찰 위성 시험 발사라며 준중거리 미사일을 2차례 쏘아 올린 북한. <br> <br> 그러나 한미일이 분석한 결과 2년 전 열병식에서 처음 선보인 신형 ICBM '화성-17형'의 시험 발사였습니다. <br><br> 최대 사거리가 미국 본토 타격도 가능한 1만 3,000㎞ 이상이지만, 고각 발사로 사거리가 대폭 줄어 준중거리 탄도미사일로 보였던 겁니다.<br> <br> 북한의 ICBM 시험 발사는 4년 3개월 만으로, '모라토리엄' 파기가 임박했다는 분위기입니다. <br> <br> 공교롭게도 대선 결과가 알려진 다음 날 북한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ICBM 발사가 가능한 동창리 서해위성 발사장을 방문한 소식도 전했습니다. <br> <br>[리춘희 / 조선중앙TV 아나운서] <br>"위성 발사장 개건 현대화 목표를 제시하시고 그 실행을 위한 구체적인 방향과 방도를 밝혀주셨습니다." <br> <br>올해 9번의 미사일 발사에 이어 풍계리 핵실험장 복구 움직임까지 포착되는 가운데 강경한 대북 기조를 보인 윤석열 당선인을 길들이고 한미 동맹을 흔들기 위한 시도가 아니냐는 분석도 나옵니다. <br> <br>[양무진 /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] <br>"(윤 당선인이) 대북 압박 제재에 의한 북한의 변화를 이끌겠다는 입장이 분명한 만큼 (북한도) 강 대 강의 대남 대미 맞대결 전략으로 나올 겁니다." <br><br>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북한에 대해 새로운 제재 발표를 예고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권갑구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 : 장세례<br /><br /><br />권갑구 기자 nine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