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우크라이나 속보입니다. <br> <br>이제 수도 키이우 인구 절반이 대비를 마쳤습니다. <br> <br>남은 시민들은 키이우를 거대한 요새로 만들었습니다. <br> <br>그 모습을 염정원 기자가 보여드립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 수도 키이우 북동쪽 외곽에서 대기중인 러시아 기갑부대를 향해 우크라이나군의 기습 공격이 시작됩니다. <br><br> 군인들은 황급히 몸을 숨기고 진군하던 행렬은 퇴각합니다. <br> <br> 양측 교전이 이어지는 가운데 키이우 시민의 절반인 2백만 명이 대피를 마쳤습니다. <br> <br>[비탈리 클리치코 / 키이우시 시장] <br>"우리는 더이상 물러설 곳이 없습니다. 우리는 지금 집에 있고 우리의 집과 가족, 국가와 미래를 지킬 것입니다." <br> <br> 키이우에 남은 시민들은 군복으로 갈아입고 총을 들었습니다. <br> <br> 군용차량 진입을 막기 위해 타이어를 뚫을 수 있는 뾰족한 장애물을 직접 만들었고, 모래주머니와 콘크리트 구조물로 요새를 구축했습니다. <br> <br> 민간인 대피가 끝난 뒤 러시아군의 무자비한 공세가 예상되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 한때 64㎞에 달했던 러시아군 차량 행렬이 분산되고 재배치된 모습도 위성사진에 포착됐습니다. <br> <br>[세르히 세르듀크 / 우크라이나 시민(용접공)] <br>"우리는 분명히 러시아 군대의 중추를 부러뜨릴 것입니다. 이미 우리는 부쉈고, 깨뜨렸습니다. 반드시 부숴버릴 것입니다." <br> <br> 결사 항전을 강조했던 젤렌스키 대통령과 함께 동갑내기 부인 올레나 여사도 국민 영웅으로 떠올랐습니다. <br> <br> SNS를 통해 민간인 피해 참상을 사진과 함께 우크라이나어, 영어, 독일어로 고발하며 여론전을 지휘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 팔로어는 계속 늘어 3백만 명에 근접했습니다. <br> <br> 그러나 터키에서 열린 양측 외무장관의 회담은 성과 없이 끝났고, EU 신속가입도 사실상 무산돼 우크라이나의 미래에 안개가 사라지지 않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염정원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: 조승현 <br>영상편집: 형새봄<br /><br /><br />염정원 기자 garden9335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