오미크론 확산으로 소아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정부가 소아특화거점전담병원을 기존 28곳에서 65곳으로 늘렸습니다. <br /> <br />또 내일은 5살에서 11살까지 소아 확진자를 대상으로 한 백신 접종 계획도 발표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자세한 내용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봅니다. 김대겸 기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저는 경기 김포시에 있는 한 어린이병원에 나와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주말에도 많은 소아 환자들이 병원을 찾고 있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그렇습니다. <br /> <br />이곳은 지난 2일, 소아특화거점전담병원으로 지정됐는데요. <br /> <br />평일, 주말 할 것 없이 하루 평균 100명의 소아 확진자를 대면 진료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아이를 데리고 오는 부모님들도 함께 진단 검사를 받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보니 하루 PCR 검사량만 500건에 달합니다. <br /> <br />의사소통이 어려운 영·유아의 경우 어떤 경우에 병원을 찾아야 하는지 헷갈리는 경우가 많은데요. <br /> <br />발열이나 구토 증상이 대부분이고, 목이 쉬거나 숨쉬기 힘들어하면 꼭 병원을 찾아야 합니다. <br /> <br />의료진 인터뷰 함께 들어보시겠습니다. <br /> <br />[이홍준 / 어린이병원장 : 폐색성 후두염 증상이 나타났을 때 컹컹거리고 목이 쉬고 들이쉬는 숨이 이렇게 넘어가는 모습이 보일 때는 꼭 병원에 내원하는 게 (좋습니다.)] <br /> <br />증상이 심할 경우는 입원도 가능합니다. <br /> <br />다만, 의료 인력 부족 등으로 대부분 병원에서 병상 운용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이 병원도 마찬가지로 99개의 입원 병상을 갖고 있지만, 병상 운용률은 100%를 채우지 못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처럼 확보된 병상 수가 소아 확진자 증가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면서 방역 당국은 최근 소아특화거점전담병원의 수를 28곳에서 65곳으로 크게 늘렸는데요. <br /> <br />여전히 서울 지역은 소아 특화 거점 원이 단 한 곳도 없어 인접 경기도 지역을 찾아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 <br /> <br />확진 판정을 받은 생후 4개월 아기를 데리고 10곳 넘는 병원을 전전하다가 겨우 이곳 병원을 찾았다는 서울 지역 보호자도 만나볼 수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인터뷰 내용 들어보시겠습니다. <br /> <br />[이희선 / 서울 대방동 : 밤 11시 반쯤 나갔다가 새벽 3시 넘어서 집에 들어왔어요. 확진 판정 받고 집에 왔는데 어디로 갈 곳도 없고 또 양성 판정을 받았는데도 보건소로 서류가 안 넘어갔대요.]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정부는 내일부터 5살부터 11살 연령대의 백신 접종계획을 발표할 예정입니다.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대겸 (kimdk1028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0313120527362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