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새집에 살고 싶단 열망, 이뤄질까.<br> <br> 재개발 재건축 규제를 확 풀어 주택 공급을 늘린다는 당선인 공약에 노후 주거 단지가 들썩이기 시작했습니다.<br> <br> 안건우 기자가 현장 다녀왔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[윤석열 / 대통령 당선인(지난해 12월)] <br>"재개발·재건축 규제를 많이 풀어 민간 주도로 많은 주택 공급되도록." <br><br>노원구입니다. 서른살 이상된 아파트가 절반이 넘어갈 정도로 오래된 아파트가 많은 곳인데 대선이 끝난 이후로 조금 다른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습니다.<br> <br>[서울 노원구 A공인중개사무소] <br>"새 아파트 열망이 상당하죠. 일단 재건축 연한(준공 30년)은 다 됐잖아요." <br><br>88올림픽 이전 지어진 아파트. 지난달 1차 안전진단을 통과했습니다. <br> <br>107㎡의 호가는 13억 중반에서 15억 원. <br> <br>같은 면적이 지난해 10억 원에 팔렸는데 집주인들이 최대 5억을 높여 부르는 겁니다.<br> <br>30년 이상 아파트는 재건축 안전진단을 면제해주겠다는 공약에 대한 기대감 때문입니다. <br> <br>[서울 노원구 B공인중개사무소] <br>"오를 것이란 기대감이 있고, 혹시 (재건축 규제) 풀어주면 더 가니 (호가) 올려 내놓는 거죠." <br><br>준공 30년이 넘은 아파트 비중이 30%에 육박하거나 넘는 곳도 8개구에 달합니다.<br> <br>강남, 여의도, 목동 등 주요 재건축 단지에서도 매물을 거둬들인다는 얘기가 나올 정도. <br> <br>전문가들은 재건축 아파트 매매시장이 소폭 하향세인 일반 아파트 매매 시장과 다르게 움직일 것으로 내다봤습니다. <br> <br>[박합수/ 건국대 부동산대학원 겸임교수] <br>"재건축·재개발 중심으로는 가격이 집중력을 발휘할 확률이 높습니다." <br> <br>다만 정책이 실현되기까지 시간이 필요해 당분간 거래 없이 호가만 오르는 현상이 이어질 거란 전망도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안건우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: 이호영 <br>영상편집: 구혜정<br /><br /><br />안건우 기자 srv1954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