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'화마 피해' 산림 복원 어떻게?…장마 전까지 응급 복구

2022-03-14 11 Dailymotion

'화마 피해' 산림 복원 어떻게?…장마 전까지 응급 복구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경북 울진을 비롯해 강원 삼척과 강릉 등에서 발생한 이번 동해안 산불로 서울 면적의 40%수준의 산림이 잿더미로 변했습니다.<br /><br />복구가 막막한데 산림 당국은 우선 장마 전까지 산사태 예방작업을 하고 장기적인 복원에 나선다는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이상현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이번 울진·삼척 산불로 인한 피해면적은 2만 923ha로 역대 최대 규모입니다.<br /><br />강릉과 동해에서 발생한 산불은 4,000ha의 산림을 태웠습니다.<br /><br />방대한 면적에 산림피해 복구에도 상당한 시간이 걸릴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산림당국은 올해 마무리할 응급복구와 연차적으로 추진하는 항구복구로 구분해 복원을 추진 중입니다.<br /><br />우선 토사유출과 산사태 등 2차 피해 예방을 위한 응급복구를 장마 이전인 6월까지 마무리한다는 방침입니다.<br /><br />산림 인접 민가 주변을 중심으로 피해목을 잘라내고 석축이나 옹벽 등 구조물을 설치하는 사방사업을 중점 진행할 계획입니다.<br /><br /> "그런 피해 방지를 위해서 많은 인력과 예산을 들여서 좀 빠른 조사와 복구를 할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."<br /><br />산림을 자연 상태로 돌려놓는 항구복구는 최소 3년 이상의 조사와 논의 과정을 거쳐 계획을 수립하게 됩니다.<br /><br />한때 산불 영향권에 들었던 한울원자력발전소와 삼척 LNG기지 일대에는 불에 강한 내화수종이 식재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민가 주변에는 활엽수를 심어 향후 산불 피해를 최소화하고 산 정상부에는 성장이 빠른 침엽수림을 조성해 산림 경관을 조속히 복원한다는 구상입니다.<br /><br /> "주민들과의 협의체를 잘 활용하고 산학연이 연관시켜서 앞으로 새로운 경관이 만들어질 수 있는 그런 나무가 심어질 수 있도록 했으면 좋겠어요."<br /><br />당국은 앞으로 20년 뒤 산림의 외형적 모습이, 35년 뒤에는 동물 생태계가, 100년 이상 지나야 토양이 산불 이전의 80% 수준으로 돌아올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상현입니다. (idealtype@yna.co.kr)<br /><br />#산불 #복원 #장마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